'선넘패' 샘 해밍턴, 중국으로 가족 여행 갔다가 경찰 출동해 당황?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2 10:58:4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MC 유세윤이 안정환, 이혜원의 달달한 애정행각(?)을 대리 인증해 스튜디오를 핑크빛으로 물들인다. 

 

▲유세윤이 안정환-이혜원 부부의 애정행각을 대리 인증해 웃음을 안긴다. [사진='선 넘은 패밀리' 방송 갈무리]

 

14일(목) 저녁 8시 1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8회에서는 안정환, 이혜원, 유세윤, 송진우가 스튜디오 MC로 자리한 가운데, 방송인 샘 해밍턴, 율리아, 파비앙이 출연해 중국으로 선 넘은 패밀리가 전하는 현지 소식을 함께 지켜보며 깨알 참견과 정보로 다양한 재미를 선사하는 모습이 공개된다. 

 

이날 유세윤은 “얼마 전 안정환 씨가 오랜만에 (축구) 경기를 뛰셨다”며 말문을 연다. 안정환은 지난 달 20일 서울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4 넥슨 아이콘 매치에 출전한 바 있다. 이 경기는 축구 게임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을 서비스하는 넥슨이 레전드 선수들을 초청해 치른 이벤트 경기다. 

 

유세윤은 “안정환 형이 반대편으로 롱 패스할 때 소름이 돋았다”며 여전한 경기력을 칭찬하는 한편, “(이)혜원 누나가 핑크색 니트를 챙겨 왔더라. 예전에 정환이 형이 경기를 뛸 때마다 핑크 니트를 입고 가서 그걸 보고 (서로를) 확인했다더니, 이번에는 핑크 니트를 들고 아예 깃발처럼 흔드셨다. 정환 형이 그걸 보고 하트 포즈를 해줬다”고 생생히 전해 두 사람의 여전한 금실을 인증한다. 

 

달달한 분위기 속, ‘중국 패밀리’로 새롭게 합류한 현보나X장하이시앙은 “2011년 결혼한 14년 차 부부다. 연년생 아이와 함께 칭다오에서 살고 있다”며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 이어 현보나는 “칭다오엔 싸고 맛있는 음식들이 많다. 토박이 가이드 투어를 시작하겠다”고 밝힌 뒤, 현지 맛집 투어에 나선다. 두 사람은 다양한 맛집을 들러 네버엔딩 먹방을 펼치는데, 이를 지켜본 안정환은 “완전 먹방 가족이네! 너무 맛있겠다”라며 찐으로 부러워한다. 

 

그런가 하면, ‘중국 대표’를 자처한 샘 해밍턴은 “얼마 전 중국 광저우로 가족 여행을 갔는데,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공항에 경찰이 출동했다”고 털어놔 모두를 놀라게 한다. 모처럼 중국을 찾았다가 공항에 뜬 경찰 때문에 당황한 샘 해밍턴 가족의 여행 비화와 ‘중국 패밀리’ 현보나X장하이시앙이 선보인 칭다오 ‘찐’ 맛집 투어 현장은 14일(목) 저녁 8시 1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8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