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은행 3일 첫걸음....금융도 유비쿼터스 시대

조승연 / 기사승인 : 2017-04-03 09:35:51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3일은 국내 은행의 역사에 한 획이 그어지는 날이다. 이 날자로 '케이뱅크'라는 국내 1호 인터넷 전문은행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의 두드러진 특징은 점포가 한 개도 없다는 점이다. 당당히 제1금융권의 7번째 시중은행으로 출범하지만 일체의 오프라인 업무는 배제한 채 오직 인터넷만으로 모든 업무를 진행한다.


점포가 없어 대면업무가 생략되다 보니 은행으로서는 인건비와 점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 대신 소비자는 돈을 맡긴 뒤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고, 보다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행이 성공 사례로 자리하게 되면 기존 은행들도 경쟁력 유지를 위해 서비스 개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기대가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은행의 모든 서비스는 하나의 앱(케이뱅크 앱)과 웹(www.kbanknow.com)만으로 이뤄진다. 영업시간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모든 서비스의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말해 스마트폰 하나만 들고 다니면 언제 어디서든 은행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가히 은행 서비스의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린다고 할 수 있다.


케이뱅크의 주요 상품엔 예적금과 대출, 체크카드 등이 있다. 기존 은행권에서 다루는 웬만한 상품은 모두 취급한다. 대신 예적금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고, 대출 금리는 그 반대다. 일례로 코드K 정기예금의 경우 연간 최고금리가 2.00%다. 시중은행에서는 정기예금 금리가 2%대인 상품을 찾아볼 수 없다.


대출의 경우 직장인K 신용대출은 연간 금리가 최저 2.73%로 책정돼 있다. 앱을 내려받은 뒤 상담원과의 전화통화, 신분증 촬영, 지문인증 등의 간단한 절차를 거쳐 만들 수 있는 마이너스 통장 서비스인 미니K 마이너스통장의 경우 적용 금리가 연 5.5%다.


소비자들이 인터넷은행 이용시 누릴 수 있는 또 다른 이익은 웬만한 서비스 이용에는 수수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용이 편리하다는 점 역시 인터넷은행의 큰 매력으로 느껴질 수 있다. 공인인증서 없이 가입과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 심사가 비대면으로 이뤄진다는 점 등등이 인터넷은행이 제공할 대표적 편리성들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리아, ‘희망ON’ 기금 서대문구청에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GRS가 운영하는 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롯데리아가 지난 6일 고객 참여형 ‘희망ON’ 캠페인을 통해 모금한 기부금 2000만원을 서대문구청에 지역아동들을 위해 전달했다고 7일 밝혔다. 희망ON 캠페인은 자사 어플 ‘롯데잇츠’의 주문 건수를 매칭해 고객 주문 1건당 50원이 자동 모금되고 조성된 기금은 지역자치구를 통해 결식아동,

2

티웨이항공, 2026년 하계 스케줄 오픈 기념 특가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은 2026년 하계 스케줄 항공편 예약 오픈을 기념한 특가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이달 16일까지 티웨이항공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웹)을 통해 진행하며, △일본 △중화권 △동남아 △유럽 △미주 △중앙아시아 △대양주 등 국제선 및 국내선 60개 노선을 대상으로 한다. 탑승 기간은 내년 10월

3

파라타항공, 인천-나리타 노선서 지속가능항공유 사용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파라타항공이 국내에서 생산한 SAF(지속가능항공유)를 인천~나리타 노선에서 사용하기로 했다. SAF(지속가능항공유)는 폐기름이나 동,식물성 유지 등 친환경 원료를 활용해 만든 항공유로 일반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 가까이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인 탄소 감축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파라타항공은 오는 11월 17일로 예정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