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드론은 최근엔 고공 촬영과 배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4차 산업혁명에서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드론 비행을 위한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비행금지구역 내에 위치해 드론을 날릴 때마다 어려움을 겪었던 판교 기업지원허브 주변의 비행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18일 국토교통부는 드론 스타트업 지원시설인 '드론 안전·활성화 지원센터(판교 기업지원허브 내 위치, 이하 센터)' 운영자인 항공안전기술원과 성남시,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 및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간 비행 여건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드론쇼 코리아 제공]](/news/data/20190218/p179565865463035_463.jpg)
지원센터는 2017년 9월부터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7년 이내의 드론 관련 스타트업·벤처기업(22개사)을 선정해 기술·금융 컨설팅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고 있다.
센터는 IT산업 메카인 판교 테크노밸리(제2밸리)에 위치해 전·후방 산업계, 이종산업계 등 관련 업계들과 네트워크 여건이 훌륭한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지만 성남에 위치한 서울공항의 안전·안보 관계상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돼 있어 자유로운 비행 시험에 제약이 있었다. 서울공항의 비행금지 구역은 반경 9.3km 이내로 설정됐는데 성남시 전체 면적의 82%에 해당한다.
이때문에 센터 내 입주기업은 주로 실내에서 비행 시험을 진행해왔는데 실내시험장은 천장높이 제한과 GPS송수신 오류 등으로 고난이도 비행 시험까지는 제약이 많았다. 또한 센터 인근 실외지역은 서울공항으로부터 근접한 거리에 위치해 비행승인에 실질적인 어려움으로 외곽지역까지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번 협약에서 성남시는 기관 간 협조 총괄 등 성남 내 드론비행 총괄 관리, 공군은 훈련비행 일시 사전통보 및 비행승인, 코이카는 운동장 부지 제공, 항공안전기술원은 감독관 배치 및 안전관리 등을 각각 담당하게 됐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안전·안보에 영향이 없는 선에서 비행승인을 보다 쉽게 내주는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드론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판교 기업지원허브 주변의 비행여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야외 비행 인프라 구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