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반도체서 방사선 피폭사고..."6명 중 2명 이상증상"

오철민 / 기사승인 : 2019-08-16 17:51:41
  • -
  • +
  • 인쇄
모두 용역업체 직원들...원안위, 행정처분 예정

[메가경제 오철민 기자] 방사선발생장치(RG) 사용신고기관인 서울반도체에서 용역업체 직원 6명이 방사선피폭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6명 중 2명에게서는 이상증상이 나타나 추적관찰 중이다. .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서울반도체에서 발생한 방사선피폭사고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방사선피폭 의심환자는 6명이며 모두 서울반도체 용역업체 직원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로고. [출처= 원자력안전위원회 홈페이지]

 


원안위는 이들에 대해 즉시 방사선작업을 중지시키는 한편 원자력의학원을 통해 검사 및 치료, 추적관찰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6명 중 4명은 증상이 없으나, 2명은 손가락에 국부피폭이 발생해 홍반, 통증, 열감 등 이상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증상이 발현된 2명에 대해서는 염색체이상검사 등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실시한 의심환자 6명에 대한 혈액검사는 모두 정상으로 판정됐다고 덧붙였다.


원안위는 사고발생업체인 서울반도체에 대해 지난 6~7일과 13~14일 두 차례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용역업체 직원들이 반도체 결함검사용 엑스레이(X-ray) 발생장치의 작동 연동장치를 임의로 해제해 방사선이 방출되는 상태에서 손을 기기 내부로 집어넣은 것이 사고의 원인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작동 연동장치란 장비의 문 개방 등 비정상 상태에서 방사선이 방출되지 않도록 설계된 장치를 말한다.


 


서울반도체 로고. [출처= 서울반도체 홈페이지]

 


원안위는 1차 현장조사 시 해당 방사선발생장치(RG)에 대해 사용정지 조치를 취했고, 유사 검사장비도 연동장치 해제 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돼 검사용 RG 2대도 추가로 사용정지 명령을 내린 상태다.


원안위는 “향후 방사선피폭 의심환자들에 대한 염색체이상검사, 작업자 면담 및 재현실험, 전산모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정확한 피폭선량을 평가할 예정”이라며 “서울반도체에 대한 추가조사를 진행해 원자력안전법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992년 설립된 서울반도체는 2018년 기준 매출 약 1.2조원, 전세계 LED 시장 4위를 차지한 글로벌 LED 전문 기업으로, 본사는 경기도 안산에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1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가 정식 서비스 시작 후 하루 만에 국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게임 1위를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8일 오전 11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더 스타라이트’는 19일 오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순위 정상,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출시와 동시에 인기 게임 순위 3위에 오르며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2

하나은행,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대응해 원금은 보장하면서도 정기예금 이상의 높은 수익실현 기회를 제공하는 '지수플러스 정기예금'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지수플러스 정기예금(ELD, Equity Linked Deposit)은 주가지수연동 예금으로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된다. 중도해지를 하지 않

3

항공보안학회,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항공보안학회는 19일 ‘항공안전보안 R&D 추진전략 및 항공기내보안 강화방안’을 주제로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을 일산 킨텍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했다. 포럼 시작에 앞서 학회는 종합미디어 산업분야 선도기업인 엠트리홀딩스와 항공보안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제1부 개회식은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 박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