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롯데그룹 창업주인 신격호 명예회장의 별세로 우리나라 재계를 이끌던 ‘창업 1세대 경영인’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신격호 명예회장이 19일 오후 4시30분께 노환으로 향년 99세에 세상을 떠났다.
이로써 고(故) 이병철 삼성 회장, 정주영 현대 회장, 구인회 LG 회장, 최종현 SK 회장 등이 재계를 이끌던 대기업 창업 1세대 시대가 역사 속으로 저물었다.
앞서 이날 롯데그룹은 “지난 밤 신 명예회장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만일에 대비해 가족들과 그룹 주요 임원진이 병원에 모여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일본에 출장 중이던 신동빈 롯데 회장도 급거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은 지난달 18일 영양 공급과 관련한 치료 목적으로 서울 아산병원에 입원했었다.
![19일 향년 99세를 일기로 별세한 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 [사진= 롯데 제공]](/news/data/20200119/p179566082505287_599.jpg)
맨손으로 껌 사업을 시작해 롯데를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로 성장시킨 고인은 한국과 일본 양국에 걸쳐 식품·유통·관광·석유화학 분야 대기업을 일궈낸 자수성가형 기업가로 평가된다.
1921년 경남 울산에서 5남 5녀의 첫째로 태어난 신 명예회장은 일제강점기인 1941년 혈혈단신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과 우유 배달 등으로 고학 생활을 했다.
1944년 선반(절삭공구)용 기름을 제조하는 공장을 세우면서 사업에 뛰어든 고인은 2차 대전 중 공장이 전소하는 등 시련을 겪었으나 비누와 화장품을 만들며 재기에 성공했다.
이후 껌 사업에 뛰어든 신 명예회장은 1948년 ㈜롯데를 설립했다. 이어 초콜릿, 캔디, 비스킷, 아이스크림, 청량음료 부문에도 진출해 성공신화를 써내려갔다.
신 명예회장은 한·일 수교 이후 한국 투자 길이 열리자 고국에도 시선을 돌렸다.
1967년 롯데제과를 설립한 뒤 국내 최대 식품기업의 면모를 갖춰갔다. 이후 롯데는 관광과 유통, 화학과 건설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신 명예회장은 특히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는 기필코 관광입국을 이뤄야 한다"는 신념으로 관광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했다. 그 성과가 롯데호텔, 롯데월드, 롯데면세점 등으로 실현됐다.
국내 최고층 빌딩인 롯데월드타워 건설도 사실상 그의 작품이나 다름없다. 1987년 "잠실에 초고층 빌딩을 짓겠다"며 대지를 매입하면서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 명예회장의 말년은 가정적으로 그리 순탄치 못했다. 2015년 장남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차남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간의 경영권 분쟁이 터지면서부터였다.
이후 경영권 갈등 속에 정신건강 문제가 드러나는가 하면 90대 고령에 수감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시게미쓰 하츠코(重光初子) 여사와 장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장남 신동주 전 부회장, 차남 신동빈 회장, 사실혼 관계인 서미경 씨와 딸 신유미 씨 등이 있다.
신춘호 농심 회장, 신경숙 씨, 신선호 일본 식품회사 산사스 사장, 신정숙 씨, 신준호 푸르밀 회장, 신정희 동화면세점 부회장이 동생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