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크립토랩과 ‘동형암호 기술 검증’ 성공···"금융권 최초"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10-14 00:41:57
  • -
  • +
  • 인쇄
분산된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에서 연산하는 동형암호 기술
기존 동형암호보다 90배 빠른 연산 기술 보유 스타트업 크립토랩과 협업
안전한 데이터 융합 통한 분석 모델 개발 등 데이터 비즈니스 발전 선도
▲ 신한금융그룹 [사진=신한금융지주 제공]

 

신한금융이 크립토랩과 손잡고 금융권 최초로 여러 곳에 분산된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에서 연산하는 동형암호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보험계약,대출 고객 데이터를 동형암호를 통해 결합하고 빅데이터 분석 시연에 성공한 것. 앞으로 안전한 데이터 융합을 통한 분석 모델 개발 등 데이터 비즈니스 발전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신한금융지주(회장 조용병)는 13일 동형암호 기술 보유 스타트업 ㈜크립토랩(대표이사 천정희)과 함께 ‘동형암호를 활용한 데이터 결합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 검증에 참여한 ㈜크립토랩은 기존에 널리 통용되는 동형암호 기술인 ‘MS SEAL’보다 90배 빠른 속도로 연산이 가능한 동형암호 기술 및 국내외 특허를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신한금융은 ㈜크립토랩과 함께 그룹사가 보유한 보험계약 데이터와 대출 고객 데이터를 동형암호를 통해 결합했으며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시연했다.

신한금융은 이번 기술 검증을 통해 고객의 민감 정보를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이종 산업 간 데이터를 결합하는 등 고부가가치 ‘데이터 비즈니스’를 선도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지주 CDO 김명희 부사장은 "데이터 산업의 발전과 고객정보 주권의 실현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며, “신한금융은 금번 기술 검증을 기반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고객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크립토랩 천정희 대표이사는 “이번 기술 검증을 계기로 금융권에서 동형암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비즈니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하며 “세계적으로 동형암호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한국의 활용 사례를 지속 확장해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금융은 그룹의 새로운 비전인 ‘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을 실천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고객 경험 혁신(더 쉬운 금융) ▲고객의 권리 강화 및 보호(더 편안한 금융) ▲신사업 발굴을 통한 고객 서비스 확대 및 동반 성장(더 새로운 금융)을 지향점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삼성에피스홀딩스 공식 출범…“바이오시밀러 넘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지난 1일 공식 출범하며 본격적인 경영에 돌입했다.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두고, 별도의 신설 자회사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상

2

동아ST, 포용의 일터 ‘행복세차소’ 오픈…장애인 자립 지원 나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동아에스티가 장애인 자립을 지원하고 포용적 일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새로운 사내 복지공간을 마련했다.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3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 내에 ‘행복세차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설은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고, 임직원 복지 향상에도 기여하기 위해 조성됐다. 행복세차소에는 총

3

일동제약그룹, ‘바이오 유럽’서 GLP-1RA 비만 신약 등 글로벌 파트너링 추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동제약그룹이 유럽 최대 바이오 비즈니스 교류의 장인 ‘2025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해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을 선보이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일동제약그룹은 3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5일까지 열리는 바이오 유럽에서 일동제약, 유노비아, 아이디언스 등 연구개발(R&D) 계열사가 참여해 글로벌 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