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페인트 '한국 산업 브랜드파워' 1위 선정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4-09 07:25:11
  • -
  • +
  • 인쇄
수성페인트 '숲으로', 친환경 페인트 부문 6년 연속 1위 선정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KCC(대표: 정재훈) 건축용 수성페인트 ‘숲으로’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하는 ‘2024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Korea Brand Power Index)’ 친환경 페인트 부문 1위로 선정됐다.

 



올해로 6년 연속 1위를 차지한 KCC의 대표 페인트 브랜드 ‘숲으로’는, 도심 속 빌딩 숲을 자연 산림과 같이 건강하게 숨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꾼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실제로 숲으로의 대표 상품인 `숲으로 올인원`과 `숲으로 웰빙`은 건축자재 인증인 HB마크 최우수 등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환경부 산하 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인증하는 환경마크도 함께 획득했다.

‘숲으로 올인원’과 ‘숲으로 웰빙’ 외에도 숲으로 브랜드는 우수한 색상 구현력과 고기능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학교, 병원, 공장, 집 인테리어 등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숲으로 올인원’은 초보자도 쉽게 페인트 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수성페인트로, 이사철을 맞아 가구 제작·리폼, 실내 인테리어 등 DIY용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철재, 목재, 콘크리트 등 소재를 가리지 않고 1회만 칠해도 되는 부착력과 방청(녹방지)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페인트 냄새도 없어 일반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또, 기존에 칠했던 페인트가 갈라지거나 벗겨져 보수 도장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DIY용 외에도 어린이 놀이터 놀이기구, 벤치, 각종 철구조물과 산업현장까지도 널리 사용돼 KCC 숲으로 브랜드 파워 증대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CC 관계자는 “브랜드 파워는 고객 만족을 척도로 하는 만큼 이번 K-BPI 1위 선정은 고객들에게 제품과 서비스 품질을 인정받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지속적인 친환경 제품 개발과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변치 않는 사랑을 얻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BPI는 올해 26년째를 맞는 국내 대표적 브랜드 평가 지표다. 국내 산업군과 기업 브랜드 수준을 파악해 비교할 수 있도록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브랜드 파워를 측정한다. 소비자 조사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만 15세 이상 60세 미만의 남녀를 대상으로 각 브랜드의 인지도 및 충성도에 대해 1:1 개별 면접 방식으로 조사해 종합 점수를 매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티웨이항공, 항공일자리 창출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2025 제8회 항공산업 JOB FAIR’에서 항공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16일 ‘2025 항공산업 JOB FAIR’에서 티웨이항공 인사 오지영 과장이 항공업계의 고용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활발한 취업 지원 활동 등으로 실질적인 고용 성과 창출에

2

삼성전자, 토요타 매장에 스마트 사이니지 공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전자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 '토요타(TOYOTA)'에 스마트 사이니지 약 2만3000대를 공급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한국, 독일, 프랑스,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튀르키에, 카자흐스탄 등 40개 국가 1250개 토요타 전시장에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급했다. 토요타는 리셉션, 차량 전시 공간

3

대상 청정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여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상 청정원이 동물복지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26일과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행사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올해부터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동물보호의 날(10월 4일)’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고 동물복지에 대한 정부 지향점을 소개하기 위해 개최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