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꼬북칩 초코츄러스맛’, 글로벌 시장 공략 나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11 09:25:12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오리온은 ‘꼬북칩 초코츄러스맛’이 글로벌 판매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초코츄러스맛의 인기가 SNS 등을 통해 중국, 미국 등 해외로도 전해지며 제품 출시 요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진 데에 따른 결정이다.
 

▲ 오리온 제공

먼저 이달 초 중국에서 현지 생산을 통해 ‘꼬북칩(중국명 랑리거랑. ‘浪里个浪’) 초콜릿맛’을 내놓고, 달콤한 맛을 즐기는 젊은 소비층 공략에 나섰다.

중국에서는 지난 2018년 5월 ‘콘스프맛’ 출시 이래 중국인 입맛에 맞춰 개발한 ‘마라새우맛’, ‘바비큐맛’, ‘카라멜피넛맛’, ‘바삭한 김맛’ 등이 인기를 끌어 지난해 말 기준 누적매출액 약 640억 원을 달성했다.

2019년에는 중국 대표 식음료 포럼인 ‘FBIF(Food and Beverage Innovation Forum) 2019’ 식음료 혁신 신제품 대상에서 ‘최고 스낵식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도 3월 중 하와이주 대형 유통채널 ‘샘스클럽’에서 ‘꼬북칩(미국명 터틀칩스, ‘TURTLE CHIPS’) 초코츄러스맛’ 판매가 시작된다.

초코츄러스맛은 국내 인기를 바탕으로 스낵 본고장인 미국 바이어들에게 강한 러브콜을 받아왔다. 4월에는 미국 본토로 판매처가 확대될 예정이며, 히스패닉마켓, 중국마켓 등에도 입점될 계획이다.

오리온은 지난 2018년 미국 한인마트를 중심으로 꼬북칩 수출을 시작해 미국 최대 창고형 유통업체인 코스트코에도 입점했다. 현재는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뉴욕, 캘리포니아, 텍사스, 뉴저지 등 미국 전역으로 판매처가 늘었으며, 미국 각지에서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꼬북칩 구매 인증샷을 올리는 등 현지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국내에서 출시된 꼬북칩 초코츄러스맛은 2020년 하반기 최고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출시 후 6개월이 지난 현재 누적판매량 약 1500만 봉을 달성했다.

한편, 오리온은 2019년 2월 꼬북칩의 제조 설비인 ‘스낵용 펠릿시트 가공장치’에 대한 특허 등록을 받은 데 이어 올해 초 ‘스낵용 펠릿시트 커팅장치 및 이를 활용한 스낵용 펠릿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추가해 차별화된 기술력을 공인 받았다.

오리온 관계자는 “꼬북칩 초코츄러스맛의 폭발적인 인기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어지고 있다”며 “판매처를 적극 확대하는 등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 초코파이의 뒤를 잇는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B국민은행, ‘KB굿잡 취업학교 18기’ 운영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국민은행은 교육부, 한국장학재단, KB금융공익재단과 함께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KB굿잡 취업학교 18기’를 운영하며 취업 지원에 나섰다고 5일 밝혔다.'KB굿잡 취업학교'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약 1900여 명의 직업계고 학생이 참여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다. 진로설정부터 일자리 매칭까지 모

2

비버롹스 2025, 인디게임 287개 참가 확정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스마일게이트 퓨처랩 재단은 인디게임&컬처 페스티벌 ‘비버롹스 2025’에 전시할 인디게임 287개를 공개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 비버롹스에는 총 287팀이 참가한다. 오프라인 전시 82개, 온라인 독점 전시 205개다. 출품작은 핵심 재미와 몰입도를 바탕으로,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기술적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했다.

3

현대차그룹, 폭스바겐 제치고 영업이익 '글로벌 2위' 등극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현대차그룹이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에서 독일 폭스바겐그룹을 제치고 글로벌 자동차 업계 2위에 올랐다. 1위 도요타와의 격차도 점차 좁혀가며 명실상부한 '톱2'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5년 상반기 13조8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폭스바겐그룹(67억700만유로·약 10조8600억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