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종합 자산관리 가이드 'KB Wealth Compass' 2월호 발간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5 10:22:00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KB증권이 2025년 투자전략 키워드인 ‘EXPAND’를 담은 자산관리 가이드 ‘KB Wealth Compass’ 2025년 2월호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KB Wealth Compass’는 고객의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해 KB증권이 발간하는 종합 자산관리 가이드북이다. KB증권 리서치본부의 하우스 뷰(House View)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전망, 상품 전략, 모델 포트폴리오 등 종합적인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료=KB증권]

 

이번 2025년 2월호에서는 새로운 투자전략 키워드로 ‘EXPAND’를 선정했다. 이는 ‘Explore Xciting Possibilities in AI & Diversification’의 약자로,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성에 기반한 핵심 투자 기회 발굴과 채권/대체투자 등 다양한 자산을 활용한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의미한다.

 

특히, KB증권은 투자자들이 해당 전략을 실제 투자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핀셋 추천펀드(KB증권 자체 정량·정성적 평가를 거친 추천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솔루션을 함께 제안하는 등 개인의 투자성향과 니즈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투자 상품을 함께 제공한다.

 

KB금융은 올해 초 각 계열사 내 전문가들이 모여 ‘투자의 경계를 넓혀라(Expand & Refresh the Boundaries of Investment)’라는 주제로 금리, 채권, 국내주식, 해외주식, 환율, 부동산 등 시장 전망을 담은 ‘KB Investor Insights 2025’를 공개한 바 있다.

 

KB증권은 이에 발맞춰, 연중 ‘EXPAND’ 전략을 중심으로 연속성 있는 투자 아이디어 제공과 함께 다양한 자산군별 투자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박민배 KB증권 상품전략그룹장은 “2025년은 AI 생태계의 성장성과 함께 면역력을 갖춘 자산과 산업으로 투자를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한 균형 잡힌 분산 전략이 필수적인 시점인 만큼, 고객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 Wealth Compass’는 KB증권 영업점을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대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인 ‘KB M-able(마블)’ 홈 화면의 상품 메뉴 중 ‘오늘의 콕’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KB증권 고객센터 또는 가까운 영업점에서 가능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에어프레미아, 신입 승무원 첫 나눔으로 따뜻한 비행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의 신입 객실승무원들이 첫 공식 활동으로 보육원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비행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최근 서울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에서 신입 객실승무원 약 23명이 참여한 가운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선풍기 청소, 놀이물품 세척, 창틀 청소 등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쾌

2

강원랜드, 세계 최초 AI 기반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 본격 가동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지난 9월부터 세계 최초로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카지노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을 도입해 2개월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스템은 슬롯머신과 게임 테이블에서 수거된 현금을 로봇이 자동 회수해 이송·계수·검사·포장까지 수행하는 첨단 설비다. 이를 통해

3

한국마사회, 자체 개발 DNA 검사기술로 말산업 경쟁력 강화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 도핑검사소는 전라남도교육청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열린 ‘2025년 대한수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한국말수의사회 심포지엄(Symposium 16)에서 경주마 친자감정 검사법 최적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경주마 혈통 관리의 과학적 신뢰도 제고와 해외 상용기술 의존 탈피, 그리고 국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