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상반기 직장인 퇴사율 22% 감소 '대잔류 시대' 도래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3 10:26:22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AI·데이터 기반 HR테크 플랫폼 잡코리아가 상반기 채용 시장을 돌아보고, 하반기 구인구직 전략을 제안하는 '2025 상반기 취업 트렌드 리포트'를 발행했다고 13일 밝혔다.

 

리포트에 따르면 올 상반기 퇴사자는 지난해 하반기 대비 22% 급감했다. 경기 침체로 인한 기업의 보수적 채용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현 직장에 머무르며 안정을 꾀하는 '대잔류' 시대로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회사 밖은 지옥'이라는 말이 직장인들에게는 더 이상 우스갯소리가 아닌 현실이 됐다는 고증이기도 하다.

 

▲ <사진=잡코리아>

 

반면 AI 인재를 향한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AI’ 키워드가 포함된 채용공고는 같은 기간 8% 늘었다. 취업 및 이직에 AI 역량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뜻한다.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AI 활용능력을 결합할 수 있어야 채용 불경기에도 살아남는 인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경력 채용 선호 현상도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경력과 무관하게 신입이 지원할 수 있는 공고는 지난해 하반기 대비 감소한 반면, 경력직 채용 공고 비율은 3.1% 증가했다. 즉시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력직 선호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잡코리아는 위와 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반기 공채 시기 앞서 ▲타이밍 조준 ▲AI로 살아남기 ▲스텝바이스텝의 3가지 구직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로 채용의 시즌성을 역이용한 '타이밍 전략'을 강조했다. 잡코리아 데이터에 따르면 공고는 2~4월, 입사 지원은 4~5월에 몰리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은 시기가 기회일 수 있다는 뜻이다. 통계상 하반기 공고는 8~10월에 올라오고, 입사 지원은 10~11월 집중됐다.

 

또 도메인 지식과 AI를 결합해 차별화된 AI 활용 역량과 성과를 어필하면 합격률을 높일 수 있을 거라 조언한다. 더불어 경력 인재 선호도가 높은 만큼, 중소기업에서 핵심 프로젝트 등 실무 수행 경험을 쌓은 뒤 이를 레퍼런스로 중견·대기업으로 이직하는 루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한다.

 

잡코리아 '2025 상반기 취업 트렌드 리포트'는 구인구직자 간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실행 가능한 채용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1년간의 데이터를 취합해 분석한 자료다. 추가적인 내용은 잡코리아 콘텐츠LAB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백화점그룹, 추석 앞두고 중소 협력사 결제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중소 협력사들의 결제대금을 조기 지급한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자금 압박을 받는 중소 협력사들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다. 현대백화점그룹은 그룹 계열사와 거래하는 9000여 중소 협력사의 결제대금 2,107억원을 당초 지급일보다 최대 9일 앞당겨 추석연휴 전인 다음달 1일

2

쿠팡, 중기중앙회·홈앤쇼핑과 중소기업 물류 협업 출범식 개최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중소기업중앙회, 홈앤쇼핑과 함께 중소기업의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업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쿠팡은 오늘(1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협업 출범식’에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10월 체결한 3자 간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홈앤쇼핑 입점 중소기업을 대상

3

롯데칠성음료, 신규 홍보영상 '모든 곁에 칠성'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롯데칠성음료의 가치를 담은 신규 홍보영상 ‘모든 곁에 칠성’을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7년 만에 제작된 총 2분25초 길이의 기업 PR영상으로 ‘롯데칠성음료가 만들어가는 건강하고 행복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제작되었다. 영상에는 세대별, 나라별 다양한 고객들의 일상 속에서 함께하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