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조사, 직장인 53.5% "작년 보다 송년회 줄었다"

장준형 / 기사승인 : 2023-12-22 10:31:18
  • -
  • +
  • 인쇄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잡코리아가 직장인 1097명을 대상으로 <올해 연말 송년회 트렌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올해 연말 송년회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81.8%는 송년회 계획이 있거나 이미 했다고 응답했다.


직장인 10명 중 8명 정도가 올해 송년회 계획이 있다고 답했음에도 지난해에 비해 횟수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송년회 계획이 있는 직장인 중 절반 이상인 53.5%가 '작년 보다 송년모임이 적다'고 응답했으며, 35.8%는 작년 수준, 10.7%는 '작년보다 송년모임이 더 많다'고 답했다. 

 

▲잡코리아 조사, 직장인 53.5%가 작년보다 송년회가 줄었다고 응답했다. [사진=잡코리아]

올해 연말 송년회를 갖는 직장인들은 평균 2.5회 정도 모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송년모임은 몇 회 정도 계획하는지 질문한 결과, 2회가 36.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회 32.4% 1회 17.4% 4회 7.8% 등 순이었다.


누구와의 송년회에 참여할 것인가 조사한 결과에서는(*복수응답) '절친들과의 송년회'를 꼽은 직장인이 응답률 68.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회사 동료들과 송년회(44.6%) 가족과의 송년회(42.4%)’를 꼽은 직장인이 많았다. 이 외에 학교 동창 및 동아리 송년회(29.8%) 취미. 친목 등 사회모임 송년회(21.4%) 종교모임 관련 송년회(4.8%)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올해 회사 송년회를 진행한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44.1%였다. 회사 송년회 유형으로는 '음주형 송년회'가 56.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런치타임형_점심식사로 간단하게(18.6%) 호텔뷔페형_고급 뷔페 식사로(10.5%) 문화공연형_직원들이 다 함께 문화공연 관람(5.2%) 세미나형_직원들이 다 함께 외부 강연 수강(3.1%) 워크샵형_1박2일 송년회(1.4%) 등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회사 송년회는 현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회사 송년회 유형으로는 간단하게 점심식사로 진행되는 '런치타임형'이 29.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모임 없이 상품권 증정으로 대신하는 '상품권형'도 19.2%로 2위를 차지했다. 

 

선호 송년회는 연령대 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20대 직장인 중에서는 상품권형 송년회(24.6%)가 1위를 차지했으며, 30대는 런치타임형(33.8%)이 40대는 호텔뷔페형(27.9%)이 각각 선호하는 회사 송년회 1위에 꼽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