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L '협상의 기술', 인기 이유있네..."방대한 조사와 전문가 자문이 빚어낸 리얼"

이동훈 / 기사승인 : 2025-03-20 13:31:23
  • -
  • +
  • 인쇄
이승영 작가, 전문가 인터뷰와 철저한 조사로 디테일 극대화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글로벌 IP 파워하우스 SLL이 제작한 JTBC 토일드라마 <협상의 기술>이 기업 인수합병(M&A)이라는 현실적이고 전문적인 소재로 시청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협상의 기술>(연출 안판석, 극본 이승영, (주)비에이엔터테인먼트, SLL, 드라마하우스스튜디오)은 M&A 협상을 본격적으로 다룬 첫 드라마로, 현실감 있는 스토리와 전략적 서사로 호평받고 있다. 극 중 윤주노(이제훈 분)는 전설적인 협상가로, 위기에 처한 산인그룹을 구하기 위해 치열한 협상전을 펼친다. 주주 간 권력 다툼, 기업 내부의 이해관계 충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협상 등이 현실적인 기업 환경을 반영하며 경제·경영에 관심이 높은 시청층에서도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극본을 맡은 이승영 작가는 “M&A라는 전문적인 소재를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해 방대한 자료 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히며, M&A 전문가 외에도 변호사, 노무사, 펀드매니저 등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했다고 전했다. 특히, 다양한 기업 환경을 연구하고, 게임회사 대표 및 직원, 프로그래머, 게임 전문 애널리스트까지 폭넓은 인터뷰를 진행해 현실감을 극대화했다. 또한 작품 속 배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기업 구조와 직원 구성, 본사 건물의 환경까지 세밀한 설정을 통해 몰입도를 높였다.

실제로 방영 이후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직장인들은 협상 과정의 현실성과 기업 내부를 세밀하게 그린 점을 관전 포인트로 삼았고, 시청자들 또한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몰입감 있는 연출에 호평을 보내고 있다. 이승영 작가는 “M&A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를 존중하고 경청하는 태도”라며, “협상 기술도 중요하지만, 결국 상대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다”고 강조했다.

첫 방송 시청률 3.6%로 출발한 <협상의 기술>은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최고 시청률 7.3%(수도권, 닐슨코리아 기준)를 기록했다. 두 배 이상 오른 시청률은 법정물과 범죄 장르가 강세를 보이던 드라마 시장에서 비즈니스 장르 역시 시청자들의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SLL 관계자는 “<협상의 기술>은 현실적인 기업 협상의 세계를 그린 비즈니스 드라마로, 실제 협상 전략과 경제적 이해관계를 정교하게 풀어낸 점에서 기존 드라마들과 차별화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장르적 시도로 K-드라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일지 작 연극 '진술', 19년 만의 귀환
[메가경제=김진오 기자] 2001년 초연 이후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하일지 작 연극 '진술'이 19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2006년 강신일 배우와 박광정 연출의 버전 이후, 이번에는 배우 김진근과 연출 김종희의 만남으로 새롭게 부활한다. 극단 씨어터판(Theatre Pan)이 제작하며, 오는 11월 26일부터 12월 7일 까지 대학로

2

에어프레미아, 신입 승무원 첫 나눔으로 따뜻한 비행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의 신입 객실승무원들이 첫 공식 활동으로 보육원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비행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최근 서울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에서 신입 객실승무원 약 23명이 참여한 가운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선풍기 청소, 놀이물품 세척, 창틀 청소 등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쾌

3

강원랜드, 세계 최초 AI 기반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 본격 가동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지난 9월부터 세계 최초로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카지노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을 도입해 2개월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스템은 슬롯머신과 게임 테이블에서 수거된 현금을 로봇이 자동 회수해 이송·계수·검사·포장까지 수행하는 첨단 설비다. 이를 통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