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크비즘, 치치핑핑과 펑키콩즈 NFT 프로젝트로 콘텐츠 소유권 혁신 나서

전창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0 16:30:40
  • -
  • +
  • 인쇄
▲이미지=펑크비즘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펑키콩즈 NFT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펑크비즘이 글로벌 키즈 콘텐츠 브랜드 치치핑핑과 협력해 굿즈와 해외 송출권을 실물 자산(RWA) 형태로 론칭한다고 20일 밝혔다.


치치핑핑은 '80일간의 세계일주'를 모티브로 한 장편 TV 애니메이션으로 4까지 제작됐다.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등 95개국에 수출됐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OTT와 방송사를 통해 팬들과 만나고 있다.

이번 협업은 양사의 강점을 결합해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펑크비즘의 독창적 디자인과 치치핑핑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RWA 형태로 론칭될 굿즈와 해외 송출권은 디지털과 오프라인 채널을 넘나들며 그 활용 범위를 크게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굿즈 부문에서는 한정판 제품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선보일 계획이다. 단순한 상품 판매를 넘어 소유, 교환, 거래가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팬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치치핑핑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펑크비즘의 콘텐츠를 전 세계 95개국에 확산시킬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문화 교류의 장을 넓히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콘텐츠와 IP를 실물 자산으로 확장해 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팬들이 직접 소유권의 가치를 체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콘텐츠가 단순 소비 대상이 아닌 공동 창출의 도구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펑크비즘과 치치핑핑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나아가 펑키콩즈 IP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다.

앞으로도 양사는 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허물며, RWA 자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순차적으로 선보여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