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올인원 협업도구 ‘두레이’ 공공기관 100여 곳 도입 달성

이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3 17:36:18
  • -
  • +
  • 인쇄

[메가경제=이준 기자] 엔에이치엔 두레이(NHN Dooray!, 대표 백창열, 이하 NHN두레이)는 올인원 협업도구 Dooray!(두레이)를 공공기관 100여 곳 도입을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공분야 점유율 1위 자리를 굳힌 두레이는 협업문화 확산의 전초기지를 수행하고, 고객사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그래픽=NHN두레이

 

NHN 그룹사의 내부 업무 채널로 출발한 NHN두레이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외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1년 공공시장에 뛰어 들어 서울대, KAIST, ETRI, 한국은행 등 굵직한 주요 국가 공공기관에 두레이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서비스하며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최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추진하는 ‘2023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활용모델 사업’에 공급사로 참여하며 SaaS 전환 수요가 있는 다수의 기관에 두레이를 공급하게 되면서 공공기관 100여 곳 도입이라는 레퍼런스를 확보하게 됐다. 

 

두레이는 공공기관의 업무망에도 최초로 협업도구를 도입했다. 올해 5월 한국에너지공단, 도로교통공단은 국가정보원 보안성 검토 통과 후 두레이를 도입하였으며 현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전력기술,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도 업무망 내 두레이 도입을 앞두고 있다. 

 

두레이가 SaaS 도입이 어려운 공공기관의 벽을 허문데에는 강력한 보안성이 주효했다. 두레이는 정보보호인증을 받은 안정적인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되어 탄탄한 서비스 환경을 자랑하며, KISA(한국인터넷진흥원)가 주관하는 CSAP(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 SaaS 표준 등급을 획득했다. 공공 외부망 뿐만 아니라 공공 업무망에도 협업도구를 서비스할 수 있는 곳은 CSAP 표준 인증을 받은 두레이가 유일하다. 두레이는 국제 표준 클라우드 보안 인증 'CSA STAR'에서도 최고 수준인 'GOLD' 등급을 취득한 바 있다. 

 

두레이는 업무도구(프로젝트) 중심의 올인원 협업도구로 메일, 메신저, 화상회의, 캘린더 등 협업에 필요한 모든 기능에 전자결재까지 통합해 제공하고 있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환경에서 제공되는 협업 서비스들은 공공기관별 특장점에 맞춰 이용자들이 쉽게 활용하도록 고안됐다. 특히 이메일로 업무를 진행할 경우 업무도구(프로젝트)로 등록해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점과 이와 연동되는 소통 중심의 메신저는 호평을 받고 있다는 게 NHN두레이 설명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2

하나은행,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은행 대표 모바일뱅킹 앱 ‘하나원큐’를 통해 실시간 가상자산 시세와 함께 가상자산과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는 하나은행과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체결한 업

3

풀무원푸드앤컬처, 추석 연휴 맞아 부산엑스더스카이 신규 미디어 체험존·포토존 오픈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풀무원의 푸드서비스 전문 기업 풀무원푸드앤컬처는 ‘부산엑스더스카이’에서 신규 미디어 체험존과 포토존을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 부산시 해운대 엘시티 100층에 위치한 부산엑스더스카이는 해운대 해변과 광안대교, 이기대, 동백섬 등 부산의 대표 명소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국내 최고층 전망대다. 새롭게 선보이는 ‘위시클라우드’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