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생활물가, 명(名)과 실(實)이 다르니 문제

장찬걸 / 기사승인 : 2017-02-26 18:36:44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1월 생활물가가 소비자의 느낌과는 달리 2.4%의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생활물가 추가상승 가능성 점검' 결과에 따른 수치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의 생활물가 상승률은 1.2%였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또 당분간 생활물가가 크게 오르는 일은 없을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봄철이 다가오면서 채소류의 출하량이 늘어나고 있고, 조류독감이 소강상태를 보임으로써 계란 값도 점차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는 점 등을 그같은 전망의 근거로 제시했다.


1월 생활물가와 당분간의 물가를 넘어 올 한해의 생활물가 역시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는게 한은의 전망이다. 한은은 그 근거로 미국의 셰일가스 증산에 따른 국제유가의 안정세 지속, 원달러 환율의 하락 전망 등을 꼽았다. 한은은 유가의 안정세 외에 원달러 환율 하락이 물가 상승 압력을 일정 부분 상쇄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1월 생활물가 오름세를 주도한 요인은 공급 쪽에 몰려 있었다.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게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품목별 1월 생활물가 인상 기여도는 농축수산물이 1.1%포인트나 됐고, 석유류도 0.6%포인트에 이르렀다.


조류독감 파동으로 달걀 역시 1월 생활물가에서 0.3%포인트의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조류독감 의심신고 건수는 지난해 12월 6.9건이었던 것이 올해 1월엔 0.7건으로 크게 줄었다. 그 덕분에 계란값이 눈에 띄게 하락했다.


그러나 한은은 구제역이 확산될 경우 소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구제역 변수가 올해 생활물가를 움직이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이란 의미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2% 가까운 정도를 유지하다가 연간 집계로는 1.8% 정도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2

서울 아파트, 30대 '패닉바잉' 확산…대출 규제 속 무주택층 매수세 급증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30대의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10·15 대책 발표 이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나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매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3

"부동산·가계대출 모두 경고등…'금융시스템 취약성' 심화 우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선세가 더디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우리나라 금융 건전성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발표한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부동산 PF 구조조정 속도가 늦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잠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