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 시급 9860원·월급 206만740원 '2.5% 인상'…'시간당 1만원'은 못 넘어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3-07-20 00:29:02
  • -
  • +
  • 인쇄
밤샘 논의 끝 결정…2021년 1.51%에 이어 두 번째 낮은 인상률
노사 간 치열한 공방 속 1만원 근접 수준서 결국 표결로 확정
심의 기간 110일로 현행 방식 아래 최장 기록…노사 모두 반발
결정 금액 노동부에 제출, 8월 5일 고시 예정…내년 1월1일 효력

‘시간당 1만원’을 넘길지 주목됐던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49% 오른 시급 9860원으로 결정됐다. 월급(주 40시간, 209시간 기준)으로는 206만740원이다.

올해(시급 9620원·월급 201만580원)보다 2.5% 인상된 금액이다.

최저임금위원회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차수까지 변경하며 밤샘 논의한 끝에 15차 전원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올해도 표결로 확정되면서 노사가 합의해야 한다는 공익위원들의 바람은 이뤄지지 못했다. 

 

▲ 연도별 시간당 최저임금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은 사상 처음으로 1만원을 돌파할지가 가장 큰 관심사였지만 노동계 염원인 1만원 문턱은 넘지 못했다. 다만 향후 1.42% 이상만 인상되면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원을 넘게 된다.

최근 5년간 최저임금의 전년 대비 인상률은 2019년 10.9%, 2020년 2.87%, 2021년 1.5%, 2022년 5.05%, 2023년 5.0%이다. 2021년을 제외하고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가장 낮다.

올해 최저임금위원회 심의는 법정 심의 기한(6월 29일)을 넘긴 것은 물론 현행 제도상으로 최장 기간인 110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최저임금법에 따라 최저임금 심의를 요청한 게 지난 3월 31일이었다. 이후 19일 제15차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결국 표결로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9620원)보다 2.5% 오른 9860원으로 결정됐다.

  

▲ 2024년도 최저임금 결정 과정. [그래픽=연합뉴스]

1988년 도입된 최저임금 제도는 그간 3차례 제도가 바뀌었다. 현행과 같은 방식이 적용된 2007년부터 종전 최장 심의기일은 2016년의 108일이었는데, 올해는 그보다 이틀이 더 걸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5% 오른 9860원으로 결정된 뒤 근로자위원들은 “실질임금 삭감이나 다름없다”, “소득 불평등이 더욱 가속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라며 반발했다.

사용자위원들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자리를 떴다. 
하지만 경제단체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와 내수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한계에 몰린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경영 부담이 커질 것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업종별 차등 적용 등 최저임금 결정 제도개선 조치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노동부는 8월 5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을 고시해야 한다. 최저임금이 고시되면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최저임금 고시를 앞두고 노사 양측은 이의 제기를 할 수 있고 노동부는 이의가 합당하다고 인정되면 최저임금위에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최저임금제도 역사상 재심의를 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