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크립토랩과 ‘동형암호 기술 검증’ 성공···"금융권 최초"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10-14 00:41:57
  • -
  • +
  • 인쇄
분산된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에서 연산하는 동형암호 기술
기존 동형암호보다 90배 빠른 연산 기술 보유 스타트업 크립토랩과 협업
안전한 데이터 융합 통한 분석 모델 개발 등 데이터 비즈니스 발전 선도
▲ 신한금융그룹 [사진=신한금융지주 제공]

 

신한금융이 크립토랩과 손잡고 금융권 최초로 여러 곳에 분산된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에서 연산하는 동형암호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보험계약,대출 고객 데이터를 동형암호를 통해 결합하고 빅데이터 분석 시연에 성공한 것. 앞으로 안전한 데이터 융합을 통한 분석 모델 개발 등 데이터 비즈니스 발전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신한금융지주(회장 조용병)는 13일 동형암호 기술 보유 스타트업 ㈜크립토랩(대표이사 천정희)과 함께 ‘동형암호를 활용한 데이터 결합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 검증에 참여한 ㈜크립토랩은 기존에 널리 통용되는 동형암호 기술인 ‘MS SEAL’보다 90배 빠른 속도로 연산이 가능한 동형암호 기술 및 국내외 특허를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신한금융은 ㈜크립토랩과 함께 그룹사가 보유한 보험계약 데이터와 대출 고객 데이터를 동형암호를 통해 결합했으며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시연했다.

신한금융은 이번 기술 검증을 통해 고객의 민감 정보를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이종 산업 간 데이터를 결합하는 등 고부가가치 ‘데이터 비즈니스’를 선도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지주 CDO 김명희 부사장은 "데이터 산업의 발전과 고객정보 주권의 실현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며, “신한금융은 금번 기술 검증을 기반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고객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크립토랩 천정희 대표이사는 “이번 기술 검증을 계기로 금융권에서 동형암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비즈니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하며 “세계적으로 동형암호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한국의 활용 사례를 지속 확장해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금융은 그룹의 새로운 비전인 ‘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을 실천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고객 경험 혁신(더 쉬운 금융) ▲고객의 권리 강화 및 보호(더 편안한 금융) ▲신사업 발굴을 통한 고객 서비스 확대 및 동반 성장(더 새로운 금융)을 지향점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