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과 영양 고루 갖춘 '닥터유'가 한 곳에" 오리온, 온라인 '닥터유몰' 오픈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2 07:42:56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오리온(대표이사 이승준)은 닥터유 브랜드의 모든 제품을 한 곳에서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닥터유몰’을 오픈했다고 12일 밝혔다.
 

닥터유몰에서는 제주용암수, 면역수를 포함해 단백질바, 에너지바 및 단백질 함량을 강화한 닥터유PRO 단백질바, 드링크, 파우더 등 총 25종의 닥터유 제품을 판매한다. 오리온은 기존 ‘닥터유 제주용암수 앱’을 닥터유몰로 통합하면서 구매 편의성과 차별화된 멤버십 혜택까지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오리온 '닥터유몰'[사진=오리온]

닥터유몰 오픈을 기념해 풍성한 혜택도 마련했다. 신규회원에게는 ‘문 앞에서 맛나는 100원딜’ 이벤트와 함께 5천 원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기존회원을 포함한 전체 고객 대상으로 ‘닥터유 추천 상품 패키지’를 최대 33% 할인 받을 수 있는 ‘닥터유몰 썸머 페스티벌’을 3주간 실시한다. 닥터유 추천 상품 패키지는 운동, 여행, 무더위 수분 보충 등 소비자 니즈에 맞춰 제주용암수, 파우더, 에너지바 등으로 구성했다.

닥터유 제주용암수 정기배송 고객에게는 이용 기간에 따라 닥터유몰 내 제품 구매금액의 최대 10%까지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등 더 큰 혜택을 제공한다. 정기배송은 매번 주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설정한 주기와 요일에 맞춰 제품을 배송 받을 수 있으며, 1주부터 최대 12주까지 원하는 만큼 배송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다. 예를 들어 2주 간격 월요일로 지정하면 배송 전날 자동결제 후 2주 간격 월요일마다 집 앞까지 제품을 배송해준다.

올해로 출시 15주년을 맞은 닥터유는 ‘맛있는 건강’을 콘셉트로 미네랄, 단백질 등을 강화한 차별화된 제품을 지속 선보이면서 국내 대표 식품 브랜드로 자리매김 했다. 미네랄이 풍부한 제주 용암해수를 원수로 사용해 만든 ‘닥터유 제주용암수’는 용량에 따라 가정이나 직장에서 미리 구매 해놓고 마시거나 운동 시 수분을 보충하는데 용이하며, 단백질바, 드링크, 파우더 제품은 헬스, 필라테스, 러닝 등 운동 전후나 평상 시에도 맛있게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별해 구매하는 가치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건강지향형 닥터유 제품을 보다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닥터유몰’을 오픈했다”며 “차별화된 제품 구성과 구매 편의성, 멤버십 혜택 등으로 소비자 만족도도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리, 10월 '월간컬리' 진행… 키워드는 '클린이팅'
[메가경제=정호 기자]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10월 월간컬리 키워드로 ‘클린이팅’을 선정하고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월간컬리는 매달 하나의 키워드를 선정해 고객에게 관련 상품과 라이프스타일 솔루션을 제안하는 정기 프로모션이다. 고객은 월간컬리를 통해 이달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발견하고 경험할 수 있다. 키워드

2

샤오미코리아, '한가위 빅세일 통해 스마트폰·TV 특가 판매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다가오는 추석을 맞이해 오는 10월 12일까지 ‘한가위 빅세일’을 진행한다. 1일 샤오미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는 추석 선물로 인기가 높은 로봇청소기, TV, 공기청정기를 비롯해 새 학기 필수 아이템으로 꼽히는 스마트폰, 태블릿, 이어폰, 스마트 밴드 등 다양한 제품을 최대 20%

3

정관장, 내국인 VS 외국인 정관장 국가별 선호 제품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정관장이 2025년 7월~8월 여름 휴가철 면세점 매출을 분석한 결과 국가별로 선호하는 제품 차이가 뚜렷하게 나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에 따르면 올해 공항 여객 수는 6월까지 1200만 명대를 유지하다 여름 성수기를 맞아 2025년 7월 기준 1324만 명, 8월 기준 1401만 명을 기록했다. 휴가철 여행 수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