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무탄소 에너지 투자 열풍 일으킨다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5-05 16:38:05
  • -
  • +
  • 인쇄
원자력·신재생에너지 투자 급증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인공지능의 막대한 전력 사용이 원자력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ESG 투자수요 증가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KB증권은 “인공지능의 막대한 전력 수요 증가 예상이 무탄소 에너지 기업들에 대한 투자 수요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에) 따르면, 챗GPT 기반 검색에 사용되는 전력은 2.9Wh로 일반적인 구글 검색에 소모되는 양 (0.3Wh)의 9배이다.

이와 같은 전력 수요 급증은 무탄소 에너지원인 원자력에 대해 특히 전향적인 움직임으로 연결되고 있다.

2021년 EU의 ‘녹색분류체계’ 초안이 마련될 당시 원전에 대한 투자를 녹색 투자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후 개정이 되면서 원전 친화적인 정책으로 선회 중에 있다.

유럽의회는 2023년 12월에 소형모듈원전 (SMR) 개발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5억 유로의 지원금을 집행하기로 했다. 미국도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를 통해 원자력 발전에 322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고, 그 중 75억 달러는 SMR 연구개발에 집행하기로 결정했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정부 정책 변화의 움직임으로 ESG투자자들이 원자력 관련 기업 투자에 관심을 보이면서 높은 자금 유입은 물론 주가 수익률 역시 벤치마크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 역시 금리 불확실성 리스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한 일부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선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지난 1일,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 중인 건물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글로벌 대체 자산 투자사인 브룩필드 에셋 매니지먼트와 10.5 G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력 계약을 체결했다

구글은 무탄소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 2월 유럽 전역에서 700MW 규모의 PPA 구매를 진행했다.

김 연구원은 “저탄소 전략을 앞세우고 있는 빅테크의 이러한 움직임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투자 역시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며 “인공지능의 전력 수요 증가를 시발점으로 원자력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ESG 투자수요 증가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앞장
[메가경제=정호 기자] 풀무원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에서 동물복지 계란과 펫푸드 브랜드 ‘아미오’ 등 2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동물복지 가치 확산 활동에 앞장섰다고 28일 밝혔다. 동물보호의 날 축제는 10월 4일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마련된 사람과 동물의 공존 문화를 확산하는 국민 참여 캠페인이다. 제1회

2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신규·기존 고객에 모두 '만족' 평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르노코리아는 지난 주말까지 하남 스타필드에서 진행했던 ‘르노 팝업 스테이지’ 행사에서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 체험 고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을 맞은 그랑 콜레오스는 기존 구매 고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있다. 28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9월 17일부터 2

3

현대리바트, 캐릭터 피규어 토대로 'MZ 공략' 박차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리바트가 2030 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젊은 세대 코드에 맞춰 수제 공예품을 소개하는 전문관을 열고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엔 캐릭터를 활용한 피규어를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토탈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리바트 캐릭터’로 만든 피규어 6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