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한파 지속, 스마트폰 신제품 효과 감소
[메가경제=이준 기자]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6000억원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5.74% 급감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2분기 잠정 매출은 60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28% 감소했다.
삼성전자가 거둔 2분기 영업이익은 분기 영업이익 규모로는 2009년 1분기 5900억원 이후 14년만에 최저 실적이다. 2분기 영업이익은 1분기 영업이익 6400억원에 비해 6.25% 소폭 하락했다.
![]() |
▲ 삼성전자. [사진=연합뉴스] |
반도체 업황이 부진한데다 스마트폰 사업도 신제품 '갤럭시S23'효과 감소로 수익성이 떨어진 탓이다. 2분기 매출도 이러한 영향에 1분기 60조 7500억원에 비해 5.88% 소폭 줄었다.
삼성전자가 최종 실적 발표에 앞서 공개하는 잠정 실적에선 사업별 세부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3조∼4조원대 규모의 적자를 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분기 반도체 부문 적자 규인 4조 5800억원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2분기엔 전반적인 D램 판매가 늘었고,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고대역폭 메모리)·DDR5 D램의 판매 비중도 늘었지만 여전히 불황의 벽을 넘지 못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스마트폰 사업도 신제품 출시 효과가 감소하면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1조원 이상 떨어졌을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 가전과 TV 사업도 여전히 글로벌 수요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올 하반기엔 상황이 호전될 것이란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삼성전자 반도체의 감산 효과가 3분기부터 본격화하는데다 구원투수 역할을 할 ‘갤럭시Z플립·폴드5′ 시리즈가 이달말 공개에 이어 다음달 11일 시장에 조기 투입되면서 실적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고부가가치 반도체 제품인 HBM, DDR5 판매도 하반기에 본격화할 것으로 증권가에선 내다보고 있다.
삼성전자 측은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로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외부감사인의 회계검토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라며"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주들의 관심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