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너지 상장 이후 주가 하락 우려 크게 감소"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에게 지분 증여를 결정한 것에 증권가 일각에서는 승계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지난달 31일 한화는 김승연 회장이 보유 중인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공시했다.
![]()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 |
증여 절차가 마무리되면 지주사인 한화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로 재편된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갖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로 이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로 김승연 회장의 지분을 넘어서게 됐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주)한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으로 이어지는 계열사 지배력을 공고히 하게 됐다. 한화는 경영권 승계 완료와 함께 3세 경영이 본격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화그룹은 시장에서 제기하는 ㈜한화와 한화에너지 합병 가능성에 대해 부인하며 "증여로 경영권 승계가 완료되면서 합병할 이유가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이 증여가 한화의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이란 평가를 내놓고 있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그간 "김 회장의 세 아들이 100% 보유하고 있는 한화에너지가 상장을 준비하면서 한화 주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며 "한화에너지 상장 이후 한화와의 합병을 통한 그룹 승계가 유력하게 거론됐는데 이때 한화에너지 주가가 높고 한화 주가가 낮을수록 합병 비율 측면에서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이번 지분 증여로 한화에너지 상장 이후 한화 주가 하락에 대한 우려는 크게 감소했다"며 "또한 증여세에 대한 과세 기준 가격은 한화 주가가 4만원대에 안착한 3월부터 계산되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한화 주가 상승을 경영진 측에서 예상했다는 반증도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를 4만4000원에서 5만4000원으로 올렸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갑작스러운 유상증자 발표 이후 한화의 재원 마련 방식과 기업가치 훼손에 대한 우려가 부각됐다"면서 "이번 증여 결정으로 한화는 승계와 관련해 변칙적인 방법을 동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지를 시장에 표명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할인 요인이 축소되며 지분 및 영업가치를 재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증권은 한화에 대한 투자 의견 '매수(Buy)'와 목표 주가 6만원을 유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