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와 고물가에 PB 상품 매출 12% 증가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4 10:22:01
  • -
  • +
  • 인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지난해 자체브랜드(PB, Private Brand) 상품 매출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의 한 이마트에 자체브랜드인 노브랜드 상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4일 NIQ(닐슨아이큐,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가 조사한‘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상품 매출’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국내 자체브랜드 상품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11.8% 성장했다. 전체 소비재 시장이 같은 기간 1.9% 성장에 그쳐 약 6배 높은 수치다. 

 

자체브랜드(PB)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협력해 생산한 뒤 자체 브랜드로 내놓은 상품으로 이마트 노브랜드, 롯데 온리프라이스, GS25 유어스 등이 있다. 마케팅 및 유통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가격을 낮춰 고물가시대에 각광받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지난해 소비자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품질대비 저렴한 자체브랜드 상품 구입량을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세는 비식품보다 식품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해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였던데 비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소비심리가 위축된 소비자들이 필요하지 않은 비식품 지출은 줄이고, 음식료품 등 필수재 위주의 소비활동은 유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매출대비 자체브랜드 비중이 가장 높은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였으며(8.7%), 그 뒤를 이어 기업형 슈퍼마켓 5.3%, 편의점 4.1% 순으로 나타났다.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 면에서 가장 돋보인 업태는 편의점이었다. 주요 업태 모두 전체 소비재 시장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편의점이 19.3%로 가장 높았고, 이어 대형마트 10.3%, 기업형 슈퍼마켓 5.7% 순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가격보다 편의성을 소구했던 편의점이 경기 불황기를 맞아 가성비 있는 PB 신제품을 연이어 출시하면서 주 이용객인 젊은층의 호응을 얻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통사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자체브랜드가 인기를 끌면서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3개 업태에서 모두 즉석국·탕·찌개의 자체 브랜드 상품의 매출이 일반 제조사 브랜드(National Brand)의 매출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색 수가 적은 편의점 경우 즉석국 자체브랜드 매출 비중이 82.2%에 이르렀고, 대형마트는 69.1%, 슈퍼마켓은 51.9%였다. 이 외에도 대형마트에서는 냉동양념육(58.3%)과 제습제(57.3%) 자체브랜드상품이 일반제조브랜드보다 많이 팔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 부문의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을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편의가공이 전년대비 19.1%로 가장 많이 성장했다. 

 

편의가공 식품에서도 ‘가성비’를 강조한 대용량 컵라면 판매 호조에 힘입어 라면 카테고리가 32.3% 성장했고, 유통사들이 일제히 구색을 강화한 즉석 국·탕·찌개류도 25.2% 성장하며, 편의가공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에 기여했다. 

 

자체브랜드 성장률이 두 번째로 높았던 카테고리는 제과(16.6%)류였다. 제과류 중에서 양산빵이 24%로 성장폭이 가장 컸고, 뒤를 이어 비스킷&케익 21.2%, 스낵 21%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스낵 안에서도 팝콘이 매출 기준 1~3위를 차지했는데,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아직 NB 상품이 장악하지 못한 카테고리를 공략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세 번째로 높은 성장세를 보여준 신선가공 식품(13.6%) 안에서는 햄·소시지·베이컨 성장률이 14.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유가공품 일반 제조 브랜드 시장은 전년대비 0.5% 역신장이라는 부진한 성과를 기록했다.

 

비식품 부문에서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구강용품이며(25.7%), 뒤를 이어 퍼스널케어(21.5%), 바디케어(20.2%), 제지류(11.6%)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자체브랜드 신제품들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브랜드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구매주기가 짧은 카테고리 위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비식품 전체 매출에서 자체브랜드 상품 점유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주방용품(8.8%)이며, 뒤를 이어 제지류(8.7%), 비식품기타(7.4%), 가정용품(4.2%), 청소용품(3.1%) 순이었다.  

 

우리나라 전체 소비재시장에서 자체브랜드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로 식품과 비식품이 각각 3.9%, 4.6%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3분기 기준, 글로벌 전체 소비재시장의 자체브랜드 매출 점유율은 21%로, 우리나라는 유럽(32.4%)은 물론 홍콩(13%), 싱가포르(6%)에 비해서도 낮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펄어비스, 검은사막 ‘솔라레의 창’ 신규 시즌 진행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3:3 매칭 PvP 콘텐츠 ‘솔라레의 창’ 신규 시즌을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솔라레의 창’은 3명이 한 팀이 돼 장비 격차 없이 동일한 장비로 실력을 겨루는 PvP(Player VS Player, 이용자 간 대결) 콘텐츠다. 2022년 6월 첫 프리 시즌으로 시작해, 이번이 8번째 열리는 시즌이다. 11월

2

스마일게이트, ‘카제나’ 글로벌 정식 론칭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스마일게이트는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이하, 카제나)’가 22일 글로벌 정식 론칭을 실시하고 본격적인 세계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히, 어제 정오부터 사전 다운로드를 시작한 이후 하루만에 미국, 일본, 한국, 대만, 홍콩, 캐나다, 싱가폴, 마카오 등 8개국에서 애플 앱스토어 무료 다운로드 게임 순위 1위에 등극하기도 하

3

하나은행, '2025 부동산 投:語(투:어) 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 21일과 23일 양일 간 자산가 고객 60여명을 초청해 ‘투자를 말하다, 2025 부동산 투어(投:語, Tour)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하나은행의 '부동산 투어 세미나'는 자산관리를 담당하는 하나더넥스트본부 소속 부동산 전문위원들이 자체적으로 선정한 투자 유망지역을 VIP고객과 함께 소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