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운동가 백기완 선생 별세...향년 89세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2-15 10:28:16
  • -
  • +
  • 인쇄
민주화·통일화 운동에 헌신한 한국 진보운동의 큰 지도자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헌신해온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15일 투병 끝에 별세했다. 향년 89세.


서울대병원 등에 따르면 백 소장은 이날 오전 입원 중 영면했다. 고인은 지난해 1월 폐렴 증상으로 입원해 투병생활을 해왔다.

1932년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서 태어난 백 소장은 1950년대부터 농민과 빈민운동, 통일운동, 민주화운동에 매진하며 한국 사회운동에 앞장서왔다.
 

▲ 2008년 8월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광복 63주년 8.15 민족 자주선언 행사에서 발언하는 고(故)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사진= 연합뉴스]

백 소장은 현대사의 큰 굴곡마다 솔선하는 지도자로서 큰 획을 남기며 여러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1964년에는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가했고, 1974년에는 유신 반대를 위한 1백만인 서명운동을 주도하다 긴급조치 위반으로 투옥됐다.

또 1979년 ‘YMCA 위장결혼 사건'과 1986년 ’부천 권인숙양 성고문 폭로 대회'를 주도한 혐의로도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백 소장은 1987년 대선에서는 독자 민중후보로 출마했다가 김영삼·김대중 후보의 단일화를 호소하며 사퇴했고, 1992년 대선에는 무소속으로 입후보하기도 했다. 이후에는 자신이 설립한 통일문제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해왔다.

고인은 실천적인 문인으로서의 면모도 보였다. ‘장산곶매 이야기' 등 소설과 수필집을 낸 문필가이자 대표적인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 원작자이기도 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정숙 씨와 딸 백원담(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교수)·백미담·백현담, 아들 백일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19일 오전 7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