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적용으로 공장 투자비 30% 감축"...민·관 산업AI 확산 노력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7 10:41:44
  • -
  • +
  • 인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17일 오전 상의회관에서 ‘산업AI 전략(M.A.P) 세미나 : 제조혁신의 미래를 설계하다’를 개최했다. M.A.P는 Manufacturing AI Policy를 뜻하는 말로, 이번 행사는 AI 기술의 산업현장 적용사례 소개를 통해 산업AI 확산을 유도하고, 이를 뒷받침해 줄 지원정책들을 설명하는 목적에서 마련됐다.

 

▲ 산업AI 전략 세미나에서 장영재 카이스트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가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이날 기조발표에 나선 장영재 카이스트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한동안 제조에 관심 없던 미국이 다시 제조역량에 집중하고, 특히 미국 거대 IT기업들이 제조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건 대한민국에 큰 위협”이라며 “미국, 중국 제조와 경쟁하기 위한 우리만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이어 “AI는 늦었지만, 산업AI·제조AI에는 아직 기회가 있다”며 “일례로, 물류자동화솔루션기업 다임리서치는 작업자가 공장 안에서 실물 로봇을 조작하는 방식을 공장 밖 AI 디지털트윈을 통해 가상시스템이 실물 로봇을 제어하도록 전환함으로써 공장 투자비 30%를 감축시켰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우리나라가 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면 우리의 제조 현장을 AI 활용의 대규모 테스트베드로서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민관합동 AI산업정책위원회와 전문가의 정책제언을 토대로 지난 1월 발표한‘산업AI 확산 10대 과제’에 기반해 올해 산업AI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AI를 통해 산업 현장의 구체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만큼, 선도 프로젝트를 발굴해 성공사례를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산업데이터의 생성‧활용, 산업현장에 익숙한 AI인재 양성, 제조기업과 AI기업이 함께하는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해 범용AI와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엄재홍 DN솔루션즈 상무는 기계장비 AI 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산업 AI의 시너지는 상호 운용성을 바탕으로 한다”며 “국가 주도의 표준화 작업과 구체적 가이드 마련을 통해 산업계 참여를 유도하고 ‘규모의 경제’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선 이 외에도 허영신 마키나락스 부사장이 AI 서비스·솔루션을, 송단비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산업AI 기업활용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