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SK온·삼성SDI 'K배터리 3총사', 거센 중국 바람에 휘청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4-09 11:39:34
  • -
  • +
  • 인쇄
중국 기업 LFP 배터리 채택 전략
가격 경쟁력 파상 공세에 밀려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한국의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위기에 처해 있다. 과거에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선도했지만, 최근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와 글로벌 시장 성장세 둔화로 인해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 K배터리가 중국 기업들의 공세가 거세지고, 전기차 시장이 위축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자료=SNE 리서치]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 10위권에 중국 기업들이 6개나 진입했다. 특히 CATL은 38.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한국 3사(LG에너지솔루션 13.7%, SK온 4.5%, 삼성SDI 5.6%)를 합친 점유율(23.8%)을 웃돌았다. 중국 업체 SVOLT 또한 184.3% 성장하며 1.8% 점유율로 10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은 자국 내수 시장을 발판 삼아 해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승용차정보연석회(CPCA)가 집계한 지난해 중국 전기차 인도량은 890만대로 전년 대비 37% 늘었다.


SNS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53.6%로 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글로벌 1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은 자국 내 막대한 전기차 시장을 바탕으로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

또한 저렴한 인산철계(LFP) 배터리 채택을 늘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높은 원자재 가격과 원화 강세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채택 전략이 기존의 성능 중심에서 가격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약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전기차 배터리와 밀접한 전기차 시장은 IRA 보조금정책으로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2023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가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을 위해 배기가스 규제 강화 계획을 수정 검토하고 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비난하며 내연기관차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전세계적인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전기차 전환 속도조절론’이 급부상하면서 주요 완성차 업체 또한 전기차 투자 계획과 전동화 전략을 연기하거나 감축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앞장
[메가경제=정호 기자] 풀무원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에서 동물복지 계란과 펫푸드 브랜드 ‘아미오’ 등 2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동물복지 가치 확산 활동에 앞장섰다고 28일 밝혔다. 동물보호의 날 축제는 10월 4일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마련된 사람과 동물의 공존 문화를 확산하는 국민 참여 캠페인이다. 제1회

2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신규·기존 고객에 모두 '만족' 평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르노코리아는 지난 주말까지 하남 스타필드에서 진행했던 ‘르노 팝업 스테이지’ 행사에서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 체험 고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을 맞은 그랑 콜레오스는 기존 구매 고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있다. 28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9월 17일부터 2

3

현대리바트, 캐릭터 피규어 토대로 'MZ 공략' 박차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리바트가 2030 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젊은 세대 코드에 맞춰 수제 공예품을 소개하는 전문관을 열고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엔 캐릭터를 활용한 피규어를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토탈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리바트 캐릭터’로 만든 피규어 6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