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합의는 아직…애플, 타기업과 협상 가능성도 열려 있어"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애플과 현대·기아가 ‘애플카’로 불리는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에 대한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3일(현지시간) ‘애플카’를 생산하기 위한 현대·기아차와 애플 사이의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보도했다.
CNBC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기아차 생산공장에서 애플 자율주행 전기차를 제조하기 위한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 |
▲[사진=연합뉴스] |
이 소식통들은 애플의 내부 팀이 개발 중인 애플카가 잠정적으로 2024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면서 최종 출시 시점은 더 늦춰질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소식통들은 애플과 현대·기아차 간에 최종 합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으며 애플이 다른 완성차 업체와 손을 잡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애플의 자동차 개발 전략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현대가 그들(애플)이 협상을 타결할 유일한 완성차 업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CNBC는 또 이번 협상에 밝은 사람들을 인용해 양사 모두 애플카 개발 과정에서 상대방과 협력하는 데서 독특한 장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에는 자동차 제조가 10조달러(약 1경1천137조원) 규모로 평가되는 글로벌 자동차·모빌리티 시장을 이용할 잠재력을 열어주게 된다고 평했다.
현대·기아와의 협력에 애플이 관심을 두는 이유를 잘 아는 소식통들은 애플이 자신들에 차에 탑재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제하도록 허용해줄 인정받는 완성차 업체와 함께 북미에서 애플카를 만들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이는 다시 말해 애플이 '애플카'를 만들고 싶은 것이지, 애플의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기아 모델을 생산하고 싶은 게 아니라고 CNBC는 풀이했다.
또 현대·기아에서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애플과의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CNBC는 현대·기아의 전략을 잘 아는 한 소식통을 인용해 "정 회장이 모빌리티가 회사의 미래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애플카는 전면 자율주행차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런 전략과 부합한다.
현대차는 현재 미국 자율주행 기술 업체 앱티브와 조인트벤처를 꾸려 로보택시를 포함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중이다. 다만 애플과 애플카 제조 계약을 체결하더라도 이 조인트벤처에 변화가 생길 조짐은 없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CNBC는 애플카가 어떤 모습이 될지 불투명하다면서도 한 소식통의 입을 빌려 "첫 애플카는 운전사를 고려해 설계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는 운전자 없이 작동하는 자율주행 전기차가 될 것이며 라스트 마일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스트 마일이란 '마지막 1마일 내외의 최종 구간'을 뜻하는 말로, 물류·유통업계에서는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를 가리킨다.
CNBC는 이 경우 최소한 애플카의 초기 구상은 음식 배달이나 로보택시를 이용한 회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치는 애플을 이미 자율주행 기능을 차량에 탑재해 내놓고 있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정면으로 경쟁 관계에 놓이게 만든다고 CNBC는 지적했다.
한편 앞서 애플 전문가인 궈밍치 TF인터내셔널 연구원은 지난 2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첫 번째 애플카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전망했다.
궈밍치는 현대모비스가 부품 설계와 생산을 주도하고 기아가 미국에서 생산을 담당할 것으로 분석했다. 궈밍치 연구원은 애플카 출시 시기가 2025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애플과 현대·기아차 모두 CNBC에 논평을 거부했으며, 합의 임박과 관련해 공식적 발표나 언급은 자제하고 있는 상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