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구조조정 지원, 전문 NPL회사 설립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금융당국이 건전성 악화로 신음하는 저축은행들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인수·합병(M&A) 기준을 2년간 완화하기로 했다.
지난 19일 상상인저축은행이 적기시정조치를 받았고, 페퍼저축은행은 조치를 겨우 유예받는 등 업계 구조조정 압력이 커지는 형국이다.
![]() |
▲ 상상인저축은행 본사 전경. [사진= 상상인저축은행] |
이런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9개 저축은행 대표, 저축은행중앙회 등과 '저축은행 역할 제고 방안'을 밝혔다.
골자는 부실 PF 정리·재구조화를 위해 1조원 이상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공동펀드를 조성하고, 저축은행 전문 부실채권(NPL) 관리회사를 설립한다는 것이다.
먼저 금융위는 M&A 허용 대상 저축은행 범위를 확대해 부실 저축은행 기준을 현재 '적기시정조치 대상'에서 '최근 2년 이내 자산건전성 계량지표 4등급 이하'로,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기준도 '9% 이하'에서 '11% 이하'로 바꾸기로 했다.
기존 부실 PF 정리를 위해 약 1조원 이상의 부실 PF 정상화 펀드를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1분기 중 5000억원, 2분기에 5000억원을 조성하고 하반기에 추가 조성 규모를 따져보기로 했다.
펀드 구조는 선순위(재무적 투자자)와 후순위(자산 매도 저축은행 등)로 구분된다. 선순위 비중은 20~30%로, 은행·보험 신디케이트론 등 외부 투자자를 포함해 재무적 투자자 모집한다.
저축은행중앙회 차입 한도는 유동성 지원 여력 강화를 위해 기존 3조원에서 5조원으로 높이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업계의 상시적·효과적 건전성 관리 강화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저축은행 전문 NPL 관리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저축은행 역할 강화를 위해 업계의 자체적인 신용평가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중소형 저축은행간 데이터 공동 관리, 적극적 대안정보 활용, 상시적인 신용평가모델(CSS) 관리조직 운영 등을 통해 중저신용자 맞춤형 신용평가시스템도 고도화해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