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서 상 휩쓸어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7 11:19:56
  • -
  • +
  • 인쇄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독일의 국제 디자인 공모전 'iF 디자인 어워드 2025'에서 상을 휩쓸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금상 2개를 포함해 총 58개에서 상을 받았다.

 

금상을 수상한 제품은 홈 AI 컴패니언 로봇 '볼리(Ballie)'와 소형 포터블 프로젝터의 패키지 디자인 '보자기(BOJAGI)'다.

 

볼리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해 일정 관리, 가전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홈 AI 컴패니언' 로봇이다. 사용자와 눈을 바라보고 인사하는 형상으로, 친근한 느낌을 전달하고자 작고 둥근 외형에 노란색과 부드러운 재질감을 더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보자기는 소형 포터블 프로젝터의 선행 콘셉트 패키지로, 보자기라는 한국 전통 도구에서 영감을 받아 자투리 천을 활용해 특별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특히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모양의 제품을 지속가능하게 포장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이밖에도 제품 부문에서는 ▲비스포크 AI 콤보 ▲갤럭시 링 ▲Neo QLED 8K 등이 수상에 성공했다.

 

제품 외 다양한 서비스와 UX·UI 등에서도 우수한 디자인을 인정받았다. ▲폴더블 갤럭시 AI UX ▲비스포크 냉장고 UX ▲공존의 미래 전시 등이 수상작에 이름을 올렸다.

 

LG전자는 금상 1개를 포함해 총 36개 상을 수상했다.

 

올해는 세계 최초 무선·투명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최고상인 금상을 받았다.

 

이 제품은 투명한 스크린을 가진 올레드 TV로 리모컨 조작만으로 블랙 스크린과 투명 스크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무선 AV 송·수신 기술이 적용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제품 디자인 부문에서는 ▲LG AI 홈 ▲LG 스마트홈 AI 에이전트 ▲QNED TV ▲LG 스탠바이미 2 ▲LG 시그니처 스마트 인스타뷰 등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커뮤니케이션, UX, UI, 패키지 부문에서는 ▲LG 씽큐 3D 홈 뷰 ▲LG 씽큐 캐릭터 ▲LG 아이코노그래피 등이 높은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한편 1953년 독일 인터내셔널 포럼 주관으로 시작된 'iF 디자인 어워드'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힌다. 제품·패키지·사용자 경험(UX)과 인터페이스(UI)·콘셉트·커뮤니케이션·서비스 디자인 등 총 9개 부문에서 차별성과 영향력 등을 종합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