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석호 기자] SK에코플랜트가 환경부와 AI·DT 및 폐배터리 재활용 중심의 고도화된 녹색산업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녹색시장 선점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6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인천 서구에 있는 자회사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를 방문했다고 27일 밝혔다.
![]() |
▲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왼쪽 첫 번째)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왼쪽 두 번째)이 ‘AI 소각시설 운전상황판’을 보며 관계자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
환경시설관리㈜는 국내 최대 종합 환경 플랫폼 기업으로, 전국 1290여 개의 수처리시설과 4개의 소각시설, 매립시설 및 폐유·폐수 처리시설을 운영 중이다.
환경시설관리㈜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는 1일 소각용량 96톤, 시간당 스팀생산용량 25톤, 발전설비 용량 1.13㎿h 규모의 소각시설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환경시설관리㈜ 인수 후 볼트온(Bolt-on, 유사기업과의 인수·합병) 전략에 따라 녹색사업 확장에 매진해 왔다.
또 2년 만에 12개의 폐기물 처리 및 이웨이스트(E-waste, 전기·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기업을 인수·투자하며 수처리 1위, 일반소각 1위, 매립 3위 등 국내 대표 환경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방문은 환경부가 녹색 신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청취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계획됐다.
앞서 환경부는 올해 초 업무보고를 통해 탄소중립, 순환경제, 물산업 등 3대 녹색 신산업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 행사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담당 임원, 한 장관과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해 SK에코플랜트가 자체 보유한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해외 진출 전략과 계획 등에 대해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양측 참석자들은 국내 최초로 AI 운전 최적화 기술을 도입한 소각로를 둘러보고, 직접 AI 솔루션을 시연하기도 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혁신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환경부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성장성 높은 글로벌 녹색시장을 선점할 것"이라며 "특히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래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