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이모티콘 라이징 스타 프로모션 결과 공개

이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1 11:36:00
  • -
  • +
  • 인쇄
무뇽이·트왈덕·귀염뽀짝 곰됴리 1~3위 선정

[메가경제=이준 기자] 카카오가 지난 6월 19일부터 2주간 진행한 ‘이모티콘 라이징 스타 프로모션’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카카오는 ‘이모티콘 라이징 스타프로모션’을 통해 2022년 1년간 첫 출시된 이모티콘 중 탑 3를 이용자 투표로 선정했다.

 

▲ 카카오가 지난 6월에 진행한 이모티콘 라이징 스타 프로모션을 마무리했다. [사진=카카오]

 

하루 한 표씩 매일 참여할 수 있는 투표에 무려 584만 명의 이용자가 참여해 총 872만 표를 던졌다. 1위로 선정된 이모티콘은 찹쌀떡 같은 하얗고 귀여운 캐릭터로 인기를 끌고 있는 ‘무뇽이(101만 표)’였다. 트월킹 춤만 10년간 연습한 오리라는 재미있는 캐릭터인 ‘트왈덕(77만 표)’이 2위로 선정됐다.

 

3위는 귀여움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귀염뽀짝 곰됴리(61만 표)’가 차지했다. 탑 3에 선정되지 않은 나머지 이모티콘 후보 모두 수십만 표 이상 고르게 득표하는 등 이모티콘별 두터운 팬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표를 완료한 이용자들에게 제공된 행운카드 역시 4천만 회 이상 발행됐다. 발급 받은 행운카드를 SNS에 특정 해시태그와 함께 남기면 경품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약 46만 명이 참여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에게는 감사의 마음을 담아 탑 3로 선정된 3종의 이모티콘을 14일간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이용권도 제공한다. 무료 이용권은 이용자들에게 투표 결과와 함께 카카오톡 메시지로 전달될 예정이며, 이용자들은 메시지 내 첨부된 다운로드 페이지를 방문해 이모티콘을 다운받을 수 있다.

 

카카오는 탑 3로 선정된 이모티콘 작가들에게 이모티콘 스토어 노출 등의 마케팅 지원과 더불어 이모티콘 IP를 활용한 굿즈 상품화,팝업 스토어 지원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모티콘 라이징 스타를 통해 1위로 당선된 무뇽이 캐릭터 작가인 ‘은작가’는 “생각지도 못한 1등을 하게 돼 무척이나 기쁘고 행복하다”며, “투표해 주신 이용자들과 좋은 기회를 주신 카카오에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달했다. 

 

조연주 카카오 디지털아이템팀 파트장은 “신규 창작자들의 캐릭터가 더 많이 사랑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준비한 프로모션이 많은 이용자의 참여를 통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며, “앞으로도 건강한 이모티콘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창작자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이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리, 10월 '월간컬리' 진행… 키워드는 '클린이팅'
[메가경제=정호 기자]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10월 월간컬리 키워드로 ‘클린이팅’을 선정하고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월간컬리는 매달 하나의 키워드를 선정해 고객에게 관련 상품과 라이프스타일 솔루션을 제안하는 정기 프로모션이다. 고객은 월간컬리를 통해 이달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발견하고 경험할 수 있다. 키워드

2

샤오미코리아, '한가위 빅세일 통해 스마트폰·TV 특가 판매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다가오는 추석을 맞이해 오는 10월 12일까지 ‘한가위 빅세일’을 진행한다. 1일 샤오미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는 추석 선물로 인기가 높은 로봇청소기, TV, 공기청정기를 비롯해 새 학기 필수 아이템으로 꼽히는 스마트폰, 태블릿, 이어폰, 스마트 밴드 등 다양한 제품을 최대 20%

3

정관장, 내국인 VS 외국인 정관장 국가별 선호 제품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정관장이 2025년 7월~8월 여름 휴가철 면세점 매출을 분석한 결과 국가별로 선호하는 제품 차이가 뚜렷하게 나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에 따르면 올해 공항 여객 수는 6월까지 1200만 명대를 유지하다 여름 성수기를 맞아 2025년 7월 기준 1324만 명, 8월 기준 1401만 명을 기록했다. 휴가철 여행 수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