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롯데제과, ‘칸타타’용 커피 원두서 ‘곰팡이 독소’ 검출…“유통 안됐다”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02-22 11:40:57
  • -
  • +
  • 인쇄
엔제리너스‧마트 유통용 에티오피아산 원두서 '오크라톡신A' 검출
롯데푸드가 '칸타타' 라벨로 유통하는 B2B‧민간 사업용 커피 원두
메가커피‧블레스빈 수입 원두서도 같은 곰팡이 독소 검출돼 회수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롯데제과가 최근 수입한 커피 원두에서 발암물질로도 분류되는 곰팡이 독소가 초과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롯데제과에 따르면 해당 커피 원두는 ‘칸타타’ 브랜드를 통한 제리너스‧마트‧자사몰 등 유통 목적으로 에티오피아에서 수입한 원두다. 통관에서 보관 중에 곰팡이 독소 ‘오크라톡신A’가 발견돼 전량 반품 절차를 밟았다.

 
▲ 롯데제과가 롯데푸드몰을 통해 판매하는 칸타타 커피 원두 제품 [롯데푸드몰 캡처]

 

지난달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부산청은 부산 통관 보세창고에 보관 중이던 롯데제과의 에티오피아산 커피 원두 ‘시다모 G4’에서 오크라톡신A가 기준치보다 초과 검출돼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전량 회수‧반품 조치했다.

식약처의 오크라톡신A 기준치는 ‘1kg당 5.0마이크로그램(ug) 이하’다. 하지만 롯데제과가 수입한 원두를 검사한 결과 세 가지 검체에서 각각 13.94ug/kg, 16.60ug/kg, 15.68ug/kg의 오크라톡신A가 검출됐다.

오크라톡신A는 흔히 곡물‧콩, 커피 원두 등이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면 발생하는 진균 독소다. 신장과 간의 손상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 국제암연구소(IARC) 발암물질 분류기준 ‘그룹 2B’에 해당한다.
 

▲ 곰팡이 독소가 검출된 롯데제과의 에티오피아산 커피 원두 [식약처 식품안전나라 캡처]

 

문제가 된 커피 원두는 롯데제과가 에티오피아의 에녹(ENOCK PLC LTD) 사로부터 지난해 11월 수입한 물량이다. 롯데제과는 이를 칸타타 브랜드로 가공해 롯데 계열 카페 프랜차이즈 

제리너스와 롯데푸드몰 등에 유통하고 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문제가 된 원두는 롯데푸드가 수입해 칸타타 브랜드명으로 제리너스나 마트 등과 일반 소비자에게도 유통하던 커피”라며 “롯데제과가 롯데푸드를 인수하며 함께 운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가 발견된 원두는 유통되지 않고 보세창고에서만 머물다 전량 모두 반품됐다”며 “이번 일로 에티오피아 에녹과는 거래를 중단했고 식품 안전에 대해선 늘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식약처는 메가커피를 운영하는 앤하우스와 커피 유통업체 블레스빈 등이 같은 시기 수입한 에티오피아산 커피 원두에서도 오크라톡신A가 검출돼 전량 회수‧반송 조치했다고 밝혔다.

메가커피 관계자는 이에 대해 “모든 커피 생두가 마찬가지로 특정 환경에서 오크라톡신A가 발생할 수 있어 항상 예의 주시해야 한다”며 “계속 같은 거래처를 유지할지에 대한 여부는 회사가 검토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