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브리핑을 통해 상당기간 긴축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75%(까지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며 "물가가 (지난달) 2.7% 기록했지만 8월 이후 올라서 연말에는 3% 내외로 움직이고 내년에는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브리핑을 통해 상당기간 긴축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특히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서 연내 인하를 이야기할 수 없다고 단언하며 물가 목표인 2%대로 충분히 수렴해 도달했다는 확신이 들어야 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창용 총재는 최근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또 “예상 밖으로 (가계대출 규모가) 급격히 늘어난다면 금리나 거시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며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도 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이 우려를 표했는데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총재는 “부동산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며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문제나 역전세난,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사례”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 총재는 “지금은 단기적으로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해 자금흐름의 물꼬를 트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에서도 균형 있게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창용 한은 총재는 시장의 불안을 최소화하면서 가계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연착륙하도록 통화정책 목표로 갖고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