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미국 타임지 선정 '2024 최고 발명품'에 나란히 선정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0-31 13:56:54
  • -
  • +
  • 인쇄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제품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 선정 '2024 최고의 발명품'에 나란히 올랐다. 

 

▲ 삼성전자 2024년형 'Neo QLED 8K'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24년형 'Neo QLED 8K'와 액자형 스피커 '뮤직 프레임'이 각각 소비자 가전 분야와 디자인 분야에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타임은 Neo QLED 8K를 "오래된 콘텐츠를 보다 선명하게 즐길 수 있도록 AI 기술을 탑재했다"고 소개했으며, "AI 8K 프로세서의 업스케일 알고리즘이 일반 화질의 비디오를 12.9mm 두께의 슬림한 화면에 선명한 8K 해상도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뮤직프레임에 대해서는 "홈 스피커를 아름다운 액자로 변신시켰다"며, "스탠드 위에 세우거나 벽에 걸어 8인치 x 8인치 크기의 사진이나 인쇄물을 제품에 전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울트라, 태양광 리모컨, 갤럭시 Z 플립5 등으로 타임지 선정 올해 최고 발명품을 수상했다.

 

▲ LG전자 'LG 시그니처 올레드 T' [사진=LG전자]

LG전자는 세계 최초 무선·투명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와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콤비 월 오븐'으로 올해 최고 발명품에 이름을 올렸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소비자가전 부문 최고 발명품으로 선정됐다. 타임은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거대한 검은 화면 없이 공간을 꾸밀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며 “AOD(Always-On-Display) 기능을 활용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예술 작품을 감상하거나 투명한 유리창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고 소개했다.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콤비 월 오븐은 가정용 제품 부문 최고 발명품으로 선정됐다. 이 제품은 ‘고메 AI’ 기술을 적용해 오븐 내부 카메라가 식재료를 파악 후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맞춤형 레시피를 추천한다. 타임은 “한 수 위의 요리기구”이라며 제품에 적용된 차별화된 기술을 높이 평가했다.

 

LG전자는 지난 2019년부터 LG올레드 TV, LG 틔운, LG 클로이 로봇 등으로 6년 연속 타임지 선정 최고 발명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타임은 매년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해 발표한다. 올해는 총 28개 부문에서 200개 제품을 최고 발명품으로 선정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승민 기자
신승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티웨이항공, 청주-발리 노선 운항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청주에서 출발하는 동남아시아 발리 정기 노선을 운항한다고 26일 밝혔다. 티웨이항공이 25일부터 청주-발리(덴파사르) 노선을 운항하며 다가오는 휴가 기간을 앞두고 청주발 동남아시아 하늘길 확대에 나섰다. 운항 당일 청주국제공항에서는 티웨이항공 임직원과 청주국제공항 관계자가 함께한 가운데 운항 기념 행사가 열렸다. 이번

2

이경수 코스맥스그룹 회장, 33년 성공·혁신 담은 ‘같이 꿈을 꾸고 싶다’ 출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스맥스는 이경수 코스맥스그룹 회장이 직접 저술한 사사(社史) ‘같이 꿈을 꾸고 싶다’를 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신간 '같이 꿈을 꾸고 싶다'는 지난 1992년 코스맥스 창업부터 세계 1위 화장품 ODM 기업으로서 K뷰티 생태계를 이끌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국내외 유수의 화장품 브랜드의 뒤

3

은행권, 추석 맞아 환전·게임 이벤트 ‘풍성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은행들이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을 내놓고 있다.26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은행들이 최대 10일에 이르는 추석을 맞아 외여행객을 위한 환전 우대부터 경품 추천 등 소비자 눈길을 끄는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우리은행은 WON뱅킹 앱에서 ‘추석엔 DOUBLE 환전으로 달달해’ 행사를 연다. 우리WON뱅킹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