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아토3 사전계약 호조, 보조금·인식개선 관건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가 한국 시장에 공식 진출하면서, 중국경제의 3차 ‘침공’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우려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앞서 중국은 '유통'과 '철강' 분야에서 한국 시장을 노렸다. 파죽지세로 시장점유율을 높여 왔던 유통은 유해물질 논란으로 난항을 겪고 있으며 철강은 저가를 무기로 한국시장을 상당 부분 장악해 나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기승용차 부문이 격전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31일 BYD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16일 공개된 BYD의 소형 전기 SUV ‘아토 3’는 사전계약 시작 일주일 만에 1000대를 돌파하며 국내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편의 사양이 적용된 상위 트림 ‘아토 3 플러스’의 선택률이 99%에 달해 BYD의 전략이 한국 시장에서 통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
▲ 국내 소형 전기차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아토3의 기세가 예사롭지 않다. [사진=현대 기아 BYD 픽사베이, 재구성=메가경제] |
이처럼 BYD의 한국 시장 진출은 과거 중국 기업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테무 등 중국 e-커머스 기업들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을 빠르게 잠식해 나갔다. 그러나 중국 상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유해 물질 검출 논란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통과 대조적으로 중국산 철강은 저가 공세에 품질 경쟁력을 더해 한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국내 철강 산업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중국산 열연강판 수입은 약 77만톤으로 7년래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중국 철강 속국 논란까지 겪고 있으며, 2차 침공은 사실상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철강 사례처럼 중국기업이 가격 경쟁력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 경우 성공 가능성은 높다. BYD가 국내 승용차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선택한 소형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 상대는 코나 일렉트릭(현대차)과 EV3(기아)이다.
아토3는 차체 길이 등 외관적인 요소에서는 경쟁 상대 대비 근소한 우위에 있으나, 1회 충전시 주행 가능거리에 있어 열세다. 아토3는 프리미엄급이라도 321km이지만, 기아 EV3는 스탠다드 350km, 롱레인지 모델 501km이다. 코나일렉트릭은 스탠다드 311km 롱레인지 모델 417km이다. 그런데 이 차량의 소유주들은 실제 체감하는 주행거리는 이보다 더 길다는 평들을 남긴다.
국내 전기승용차들이 주로 장착하는 삼원계(NCM) 배터리는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주행거리가 30% 이상 길다. 주행거리는 아직 전기차 충전소 등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 전기차 시장 여건에 있어 선택의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
여기에 중국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부담이다. 반면 BYD 소형전기차는 가격 경쟁력에 있어 월등하다는 장점이 있다. 코나 일렉트릭은 4142만원, EV3는 4208만원부터 시작한다. 아토3 기본 트림은 3150만원, 플러스 트림은 3330만원이다. 현대자동차 캐스퍼EV 3150만원, 기아 레이 EV 2775만원 등 경량급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다.
관건은 보조금이다. 아직 국고 보조금 액수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올해부터 청년과 다자녀가구에 주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확대된다. 모든 청년(19~34살)은 생애 첫차로 전기차를 살 때 국비보조금의 20%를 지원받게 된다. 환경부는 지난해 ‘차상위 이하 계층’ 청년이 전기차를 구매할 때 보조금을 최대 30% 추가로 지원한다는 정책을 내놨었는데, 이번에 지원 대상을 전체로 확대한 것이다.
다자녀가구의 경우, 전기차를 구매할 때 자녀가 둘이면 100만원, 셋이면 200만원, 넷 이상이면 300만원의 보조금을 추가 지원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별로도 보조금이 더해진다. 서울시는 올해 전기승용차에 최대 630만원까지 지원한다. 국내 전기승용차 경우 환경부 정책상 500만원 이상이 더해져 최대 1000만 원대까지 보조금 지원이 가능하다.
아토3는 LFP 배터리를 사용하기에 이보다는 적은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LFP는 배터리의 에너지밀도와 재활용성이 낮기 때문이다. 지난해 환경부는 LFP를 탑재한 전기상용차에 대한 보조금을 최대 70%까지 삭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전기차승용 시장이 소득에 따라 양갈래로 나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몇백 만원 차이라면, 일정한 소득 수준 있는 구매희망자는 AS 등도 고려해 국산 전기 승용차를 선택하겠지만, 소득이 일정치 않거나 낮은 구매희망자는 중국산 전기승용차를 제일 우선시할 것 같다”고 전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BYD의 한국 시장 진출은 국내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더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전기차 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