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당뇨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美 심장협회 ‘혁신연구’ 선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2-08 16:53:49
  • -
  • +
  • 인쇄
의학저널 ‘써큘레이션’지에 동시 게재

한미약품은 지난달 11일부터 13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1 미국 심장협회(AHA) 연례 학술대회’에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 후속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에페글레나타이드 심혈관 안전성(CVOT) 임상연구의 운영위원 멤버 중 한 명인 싱가포르 국립 심장센터 캐롤린 람교수 주도로 진행됐다.
 

▲ '써큘레이션'지에 실린 후속 임상 결과 [한미약품 제공]

 

일반적으로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는 모두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사건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 두 약물 병용요법의 장기적 효과는 평가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연구진은 SGLT-2 억제제와 에페글레나타이드의 복합 효과 추정을 위해 AMPLITUDE-O 연구를 추가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효능‧안전성은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하게 나타났다.

SGLT-2억제제 미투여군과 투여군에서 위약 대비 에페글레나타이드는 각각 심혈관계 위험도를 약 26%, 30% 개선했다. 확장된 심혈관계 위험도도 각각 23%, 13%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혈압‧체중,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요중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의 감소 효과도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 또한 SGLT-2 억제제 사용 유무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이 결과는 미국심장협회가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하는 최신 혁신연구에 선정됐다. 협회가 발행하는 심혈관계 의학저널인 ‘써큘레이션’지에도 동시에 게재됐다.

AMPLITUDE-O 임상은 28개국 344개 지역에서 제2형 당뇨환자와 심혈관 질환 환자 407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를 매주 피하 주사할 때 주요 심혈관 사건의 위험도와 신장질환 발생율을 유의미하게 낮춘다고 밝힌 글로벌 임상 3상 연구다. 이 결과는 지난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발표된 바 있다.

지난 10월에는 세계적인 의학저널 란셋에 에페글레나타이드가 exendin-4 기반의 GLP-1 수용체 작용제로는 최초로 심혈관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당뇨치료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치료효과가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함을 입증해 상용화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며
“에페글레나타이드가 혁신신약으로 상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미래에셋자산운용, 'ETF 이노베이션 컨퍼런스 2025'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4일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서 '미래 에셋 ETF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2025'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의 혁신과 미래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콘퍼런스를 마련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는 시장 선두 주자로서, 이번 콘퍼런스에 구성된 세 개

2

노랑풍선 ‘옐로LIVE’, 코타키나발루 특집 방송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노랑풍선은 5일 오후 2시 자사 웹페이지와 앱,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되는 ‘옐로LIVE’에서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상품을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는 에메랄드빛 바다와 황홀한 석양, 그리고 다양한 해양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어 ‘천상의 휴양지’로 불리는 인기 여행지다. 이번 방송에서는 ‘왕

3

SK바이오팜, 3분기 영업이익 701억 ‘깜짝 실적’…시장 전망치 50% 상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이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고성장을 발판으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2025년 3분기 실적을 거뒀다.5일 SK바이오팜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917억 원, 영업이익 70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4%, 26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