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비즈플레이가 23일 한국조폐공사와의 온누리상품권 사업 이관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에 대해 재차 반박하고 나섰다.
비즈플레이는 조폐공사가 핵심 기술 자산인 ERD(시스템 설계도)를 요구하면서 정보 보안 확약서 제공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기술 보호를 위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조폐공사가 이를 무시하고 직접적인 ERD 요청을 하는 등 절차를 위반했다는 것이다.
또한, 비즈플레이는 조폐공사가 2025년 1월 1일 오픈을 목표로 무리하게 일정을 강행하면서 시스템 안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즈플레이는 “(자사)담당 부사장은 11월 27일 소진공에서 조폐공사 ICT이사를 만났을 때 25년 1월 1일 오픈이 불가한 사유를 문의하였고 조폐공사 ICT이사는 세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설명했다”고 설명했다.
그 중에서 첫번째 현재 구축중인 플랫폼에 DB에 문제가 있고 두번째 카드사 연동이 미흡하다라고 하였고 세번째 이슈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고 비즈플레이는 주장한다.
비즈플레이는 조폐공사가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핑거 등 하도급 업체를 동원해 불법 하도급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온누리상품권 사업은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 업무의 하도급이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폐공사가 이를 어겼다는 주장이다.
비즈플레이는 조폐공사의 기술력 부족을 지적하며, 공공기관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민간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조폐공사가 대형 사업 경험 없이 무리하게 시장을 확장하면서 민간 기업의 기술력을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비즈플레이는 “조폐공사는 지금까지 공공상품권 시장에서 대용량이 필요로 하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온누리 등에 대해서 상품권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없다. 이러한 조폐공사의 IT역량이 부족한 부분을 온누리상품권사업과 같이 하도급이 금지된 사업에 불법으로 하도급을 강행하고 있다”며 “이는 분명히 공공기관인 조폐공사가 공공상품권 시장을 교란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온누리상품권 사업을 둘러싼 조폐공사와 비즈플레이의 갈등은 단순한 기술 이관 문제를 넘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간의 권한과 신뢰를 둘러싼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발주처인 소진공의 적극적인 조율과 일정 재조정, 원활한 이관 작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폐공사와 비즈플레이의 공방이 장기화될 경우, 온누리상품권 이용자와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