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 후 사망 사례 3명 추가로 총 5명...아나필락시스 쇼크 1명도 추가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4 23:18:37
  • -
  • +
  • 인쇄
5명 모두 AZ백신 접종·모두 기저질환자...백신과의 인과성 조사
4일 0시 기준 누적 접종자 15만4421명 중 이상반응 신고는 총 718건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지 일주일이 지난 가운데 백신을 접종받은 이후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방역당국이 사인과 백신과의 인과성 조사에 나섰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4일 0시 이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3건의 사망사례와 1건의 아나필락시스 쇼크 사례가 추가 신고 되어 현재 조사 중이며,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을 개최해 인과성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이로써 지난 26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 접종 후 사망한 사람은 모두 5명으로 늘었다. 추진단은 전날에는 2건의 사망사례와 3건의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가 보고 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새로 신고가 들어온 3건의 사례를 보면, 3명 모두 주사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었고, 2명은 전북지역 요양병원 2곳에서, 1명은 대전 중증장애시설에서 각각 나왔다. 전북지역 사망자 2명은 50대 기저질환자 남성이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 환자도 요양병원 입원환자였다.

전날 발표된 2명의 사망자(남, 50대·60대) 역시 요양병원 입원 환자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중증 이상반응 신속대응 절차. [출처= 질병관리청]

새로운 사망자 중 사망자 A씨(남, 50대)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로, 지난 2일 오전 9시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41시간이 지난 4일 오전 2시께 사망이 확인됐다.

사망자 B씨(남, 50대)도 요양병원 입원환자로, 3일 오전 11시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15시간 경과한 4일 오전 2시께 세상을 떠났다.

사망자 C씨(여, 20대)는 중증장애시설 입소자로, 2일 오전 11시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15시간 지난 4일 오전 5시30분께 숨졌다.

사망한 3명 이외에 D씨(여, 50대)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경험했다.

▲ 4일 0시 기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요양병원 입원환자인 D씨는 3일 오후 2시께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10분 뒤 호흡곤란이 와서 에피네프린을 투여하고, 이송 후 특별한 처치 없이 회복되어 오후 3시30분께 요양병원으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해당 사례를 지자체와 함께 역학조사 중이며, 어제(3일) 신고된 사망사례 2건에 대해서는 지자체 신속대응팀 회의를 진행했다”며 “추가적으로 의무기록 조사 및 분석 후 질병관리청 피해조사반 검토 등을 통해 예방접종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추진단에 따르면, 4일 0시 기준 전날 대비 6만5446명이 추가로 접종을 받아 코로나19 백신 1차 누적 예방접종자는 총 15만4421명이라고 밝혔다. 이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5만1679명, 화이바 백신은 2742명이다.


▲ 3일 오전 광주 동구 조선대학교병원 의성관에 설치된 호남권역 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의료진이 화이자 백신 주사액을 맞고 있다. [광주·전남 사진기자단]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 7만1456명(35.2%), 요양시설 1만4307명(13.2%),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 1524명(2.7%), 1차 대응요원 141명이 접종을 받았다.

추진단은 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신규 511건을 포함해 총 718건이라고 밝혔다.

709건(신규 505건)은 예방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경미한 사례였으며, 7건(신규 4건)의 아낙필락시스 의심사례와 2건(신규)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추진단은 설명했다.

▲ 병원급 의료기관 예방접종 등록 및 동의 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추진단은 4일부터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시행 중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자 동의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4일 0시 기준으로 접종대상자로 등록된 인원은 총 30만6924명이었으며, 이 중 27만141명이 예방접종을 맞겠다고 해 동의율은 88.0%였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는 백신을 수령한 다음날인 4일부터 5일 이내 접종 완료를 목표로 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접종대상자는 소속 보건의료인이며 접종대상자 전체에 대해 백신을 배송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