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무계획2' 전현무, "민물생선 트라우마 있어" 먹방 위기?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7 10:29:1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2’ 전현무가 처음으로 음식을 앞에 두고 먹방을 망설이는 ‘대위기’를 맞는다. 

 

▲전현무와 곽튜브가 은어 튀김 먹방을 앞두고 비주얼 쇼크에 할 말을 잃는다. [사진='전현무계획2' 방송 갈무리]

 

8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2’(MBN·채널S 공동 제작) 5회에서는 전현무가 곽튜브(곽준빈)와 함께 ‘지리산 한 바퀴 특집’을 하던 중 ‘섬진강 민물 생선’ 맛집을 방문하지만, 돌연 ‘먹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상황이 펼쳐져 그 이유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날 ‘먹브로’ 전현무-곽튜브와 게스트 김동준은 구례 시민인 기장님이 추천한 토종닭 맛집에서 ‘행복 포텐’ 터지는 한 끼를 먹은 뒤, 김동준과 헤어진다. 이후, 전현무는 기장님에게 “맛집 한 군데만 더 추천해달라”고 요청하는데, 기장님은 “지역 주민 분이 직접 섬진강에서 메기, 참게를 잡아서 찜이나 탕으로 판매하는 곳이 있다”며 ‘기장님계획’을 풀가동시킨다. 

 

그 길로 두 사람은 기장님의 두 번째 맛집으로 향한다. 하지만 전현무는 식당에 앉자마자 “나 솔직히 민물생선 안 좋아한다”고 털어놔 곽튜브를 당황케 한다. 그러면서 그는 과거 대전에서 겪었던 ‘민물생선 먹트라우마’를 솔직하게 밝힌다. 긴장감이 가득한 상황 속, 전현무는 조심스럽게 이곳의 메인인 ‘메기 참게 매운탕’을 한입 맛본다. 직후 그는 “오~ 오? 오~”라는 특이한 반응을 보여, 과연 어떤 ‘맛 평가’를 내릴지에 궁금증이 쏠린다. 

 

매운탕에 이어 은어 튀김도 영접하는데, 두 사람은 곧장 ‘비주얼 쇼크’에 빠진다. 곽튜브는 “통으로 튀겨버렸네”라며 ‘동공지진’을 일으키고, 전현무는 “아까 수조에 있던 애들인데…”라면서 영혼 탈곡 상태에 이른다. 하지만 은어 튀김의 맛을 본 곽튜브는 “와! 너무 고소하다!”며 ‘엄지 척’을 날리고, 분위기를 몰아 맛집 사장님은 “미용에 엄청 좋으니 많이 드시라”면서 전현무를 바라본다. 이에 전현무는 솔깃해하더니, 은어 튀김을 조심스레 집는데, 또 다시 “진짜 (생김새가) 너무 리얼하다. ‘정글의 법칙’ 찍는 것 같다”고 호소하며 먹기를 주저한다. 

 

과연 전현무가 트라우마를 딛고 ‘메기 참게 매운탕’과 ‘은어 튀김’ 먹방을 선보일 수 있을지는 8일(금) 9시 40분 방송되는 MBN·채널S 공동 제작 예능 ‘전현무계획2’ 5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