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국내 전 제품 가격 동결 결정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8-23 07:32:38
  • -
  • +
  • 인쇄
8년째...효율화와 착한포장 프로젝트 지속

원자재가 인상 기류로 라면·제과 등 식품기업들이 속속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오리온그룹은 국내 전 제품의 가격 동결을 결정했다.

다만 해외법인들은 국가별로 원가 인상 영향 등 상황에 따라 인상폭을 차등 적용한다.

오리온은 지난 2013년 이후 8년째 국내 가격을 동결 중이다. 액란류, 유지류, 전분당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인상되며 제조원가율도 지속 상승하고 있지만, 각종 비용 효율화 작업으로 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사진 = 오리온 제공

 

생산과 물류의 데이터 기반 재고관리, 글로벌 통합 구매관리, 비효율 제거 등 효율적 원가관리로 최대한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영업익율도 16.7%로 전년동기대비 1%p 상승하며 신장 추세에 있어서 가격 동결이 가능한 상황이다.

지난 2014년부터 윤리경영의 일환으로 제품 포장재 크기와 인쇄 도수를 줄여 친환경에 기여하고, 포장재에서 절감된 비용을 가격 동결 및 제품 증량에 쓰는 ‘착한포장 프로젝트’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중국법인의 경우 9월 1일부터 파이 4종 가격을 6~10% 인상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원재료 단가 인상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원재료인 쇼트닝, 전분당, 프라잉 오일의 단가 인상에 따라 제조원가율이 지속 상승했기 때문이다.

대상 제품은 초코파이, 큐티파이 등이다.

중국 법인 가격 인상은 2010년 이후 11년 만. 그외 파이, 스낵, 비스킷, 껌, 젤리 등 23개 브랜드는 가격 변동 없다.

러시아 법인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다.

설탕, 밀가루, 코코아의 원료 단가 인상뿐만 아니라 타 법인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환율 하락 영향까지 더해지며 원가 상승 압박이 가장 심한 편.

10월 1일부터 파이, 비스킷 등 전 품목에 대해 가격을 약 7% 인상할 계획이다.

베트남 법인은 팜오일, 설탕, 생감자 등 주요 원재료 단가 인상 흐름이 지속되지만 가격을 동결하기로 했다.

스낵류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관계가 치열한 만큼 가격 인상 대신 다양한 신제품 출시 및 적극적인 영업활동으로 시장점유율 확대를 꾀한단 전략이다.

파이 카테고리는 이익율이 높아 원가 상승의 방어가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베트남 법인은 전체 매출의 볼륨을 두 자릿 수 이상으로 지속 성장시켜 나가는 한편, 영업비용의 효율적 집행 및 판관비 절감 등으로 가격 억제 정책을 지속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