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묘', 개봉 5주차에 1000만 영화 등극 "오컬트 장르 최초"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5 08:27:2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영화 '파묘'가 5주 연속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며 올해 개봉작 중 첫 '1000만 영화'에 등극했다.

 

▲ 영화 '파묘'의 주역들이 1000만 영화 등극을 기념하는 인증샷을 찍어 관객들의 고마움에 화답했다. [사진=쇼박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상망에 따르면 '파묘'는 지난 22~24일 61만8057명의 관객을 끌어모아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누적 관객수는 1020만9064명이다. 역대 32번째 '1000만 영화'이자 한국 영화로는 23번째이며, 오컬트 장르로는 최초의 기록이다.

 

쇼박스 제작·배급하는 '파묘'는 지난 달 22일 개봉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박스오피스 1위를 이어와, 개봉 32일째에 1000만 관객을 넘어섰다. 지난 해 12월 24일 개봉한 김성수 감독의 영화 '서울의 봄'에 이은 3개월만의 낭보이며, 1300만 관객을 넘어선 한국 영화 역대 9번째 흥행 기록을 세운 '서울의 봄'보다는 약 하루 빠른 흥행 속도를 보이고 있다.

 

'1000만 돌파'라는 기쁜 소식에 '파묘'의 주역들인 최민식·김고은·유해진 등과 장재현 감독도 흥행 감사 인증샷을 공개해 관객들에게 화답했다. 특히 배우 최민식은 '명량'(2014)에 이어 두 번째 1000만 영화를 만나게 됐으며, 유해진은 '왕의 남자'(2005)·'베테랑'(2015)·'택시운전사'(2017)에 이어 네 번째 '1000만 영화'다. 배우 김고은과 이도현에겐 첫 번째 1000만 영화이며, 이도현은 스크린 데뷔작으로 '1000만 배우'가 되는 행운을 안았다.

 

하지만 이번주부터 흥행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인다. 손석구가 주연한 영화 '댓글부대'가 오는 27일 공개를 앞두고 25일 오전 7시10분 현재 예매 관객수 약 5만5000명으로 '파묘'(약 4만2200명)을 제치고 예매 순위 1위에 올라 섰기 때문. '파묘'를 예매 순위 정상에서 끌어내린 것은 이번 '댓글부대'가 처음이다.

 

'파묘'는 전통적인 풍수지리와 무속신앙을 엮은 오컬트 미스터리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이 거액을 받고 부잣집 조상의 묘를 파헤치면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그렸다. 

 

이밖에 주말 박스오피스 순위는 2위 '듄:파트2'(12만2447명·누적 177만명), 3위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화이트'(10만5171명·누적 16만명), 4위 '웡카'(3만3119명·누적 350만명), 5위 '브레드 이발소:셀럽 인 베이커리타운'(1만5055명·누적 18만명) 순이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