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식품 김진홍 대표,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캠페인 동참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4 08:02:48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풀무원식품(주) 김진홍 대표가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실천 운동인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14일 밝혔다.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는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에 적극 동참할 것을 요청하는 SNS 릴레이 캠페인으로, 지난 2월 환경부의 주도로 시작됐다. 

 

▲풀무원식품 김진홍 대표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캠페인에 동참한다[사진=풀무원]

지명을 받은 주자는 '1회용품을 쓰지 않는다'라는 의미의 숫자 '1'과 '0'을 표현한 사진 또는 영상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하고 다음 참여자를 지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동원 F&B 김성용 대표의 지목으로 캠페인에 동참하게 된 김진홍 대표는 일회용품 사용 제로를 약속하며 다음 주자로 농심 켈로그 정인호 대표를 추천했다.

김 대표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에 동참하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며 “풀무원은 ‘바른먹거리로 사람과 지구의 건강한 내일을 만드는 기업’ 미션 아래 식물성 지향 중심의 지속가능식품 사업을 기반으로 ESG 경영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풀무원식품은 전사 핵심전략인 ‘Plant Forward(식물성지향)’, ‘Animal Welfare(동물복지)’, ‘Eco-Caring(친환경 케어)’ 아래 지속가능한 바른먹거리를 통한 더 나은 지구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풀무원식품의 지속가능식품 전문브랜드인 '풀무원지구식단'은 최소첨가물 원칙 아래 식물성 원료로 맛과 식감을 살린 식물성 대체식품과 식물성 영양식품, 식물성 간편식 등 3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두부텐더, 두부면, 두유면, 식물성 숯불직화불고기, 식물성 런천미트 등 30여 종의 다양한 ‘식물성지구식단’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동물복지 식품의 경우, 풀무원식품은 ‘동물에 이로운 것이 사람에게도 좋고 지구 환경에도 이롭다’는 신념을 갖고, 원료가 되는 가축의 사육에서부터 안전성을 고려할 뿐 아니라 사육 동물 또한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줘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또 ‘Eco Caring(친환경케어)’ 전략 아래 환경친화 인증 소재 사용 및 재활용 기술 설계, 플라스틱 사용 절감도 추진하고 있다.

풀무원식품은 제품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트레이 제거 등을 통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104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축했으며, 바이오 플라스틱과 재활용 PP(폴리프로필렌) 포장, 단일소재 PE(폴리에틸렌) 포장 등 지속 가능한 포장재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2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