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KODEX 로봇액티브 순자산 2000억 돌파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0:54:16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로봇액티브 ETF'의 순자산이 2166억원을 기록하며 2000억원을 넘어섰다고 14일 밝혔다. 운용 성과 또한 견조하다. 최근 1달 기준 약 15.3%, 연초 이후 72.1%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로봇 테마 투자의 대표적인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KODEX 로봇액티브의 성장은 로봇 산업의 구조적 성장과 정책 모멘텀이 결합한 결과로 보인다. 국내 정책 모멘텀도 강하다. 정부는 국내 로봇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은 참여 기업 수가 160여 개로 확대되는 등 정부는 로봇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노동 환경 변화에 따라 노동력을 로봇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빨라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까지 더해져 국내 로봇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ETF는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 로봇 핵심 종목과 함께 로봇 산업 투자에 적극적인 삼성전자, NAVER, 카카오 등 국내 빅테크 기업을 높은 비중으로 담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액티브 방식으로 기초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목표로 운용한다. 덕분에 연초 이후 수익률은 72.1%를 기록하며 기초지수 대비 9.3%포인트 초과 성과를 달성, 액티브 운용의 강점을 입증했다.

 

삼성자산운용은 로봇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해 관련 상품을 주도적으로 내놓고 있다. 2022년 상장한 KODEX 로봇액티브 외에도 올해 4월과 5월에 각각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와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ETF를 상장했다. 이로 인해 한국, 미국, 중국 등 기술 선진국 중심의 글로벌 로봇 ETF 라인업을 완성했다.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운용3팀장은 "로봇 산업은 오랜 기간 축적된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의 발전이 결합하면서 시너지를 일으켜 장기 성장성이 매우 높은 분야"라며 "KODEX 로봇 ETF 3종 라인업은 글로벌 로봇 생태계 성장에 선제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홈앤쇼핑, 중소기업과 '동행' 결실…K-푸드 해외 수출 목표 76% 달성
[메가경제=정호 기자] 홈앤쇼핑이 국내 중소기업들의 K-푸드 글로벌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4일 홈앤쇼핑에 따르면 수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상품을 발굴해 K-푸드·뷰티 수출을 집중 공략한 결과, 상반기 누적 수출액 47억원을 달성했다. 대만, 사우디, 독일 등 11개국 43개 업체의 250여개 상품이 해외 진출에 성공했으며, 현재까지 목표액 1

2

치킨에 장난질, 원재료 공급 점주에게 전가...교촌, 여야에 질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교촌에프앤비가 국정감사에서 제품의 양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논란 등으로 뭇매를 맞았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교촌치킨이 기존 700g 메뉴를 500g으로 줄이고, 닭다리살 100%에서 닭다리살과 닭가슴살을 혼합했다”며 “중량과 품질은 떨어졌지만 가격은 2만3000원으로 동일하다”고 지적했다.

3

김영섭 KT 대표 "소액결제 피해 사과…혁신 나설 것"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국회 국정감사(국감)에서 소액결제 사고 및 해킹 사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사과했다. 김 대표는 14일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이하 정무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정무위는 이날 김 대표를 포함해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그는 "사전 예방조치를 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