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포비아 확산...여행업계, 타격 없을까?

심영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0 13:28:34
  • -
  • +
  • 인쇄
외교부, 16일 0시부터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4단계 발령
캄보디아 출국한 한국인, 매년 수천명씩 미귀국 근거 제기
여행업계, "전세기 외 여행하기 힘든지역으로 수요 많지 않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국인 납치 및 감금 사건 이후 캄보디아 포비아가 확산하는 가운데 여행업계에서는 크게 개의치 않는 모양새다. 코로나19 이후 해당 지역 여행 수요가 많지 않아서다. 

 

외교부는 지난 16일 0시부로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를 최고 단계인 '여행금지(4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캄폿주 보코산 지역, 바벳시, 포이펫시를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했다. 시하누크빌은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의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지역 중 하나로 외교부는 지난 16일부터 이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 '출국 권고'로 상향 조정했다.

 

▲ 한국인 납치 및 감금 사건 이후 캄보디아 포비아가 확산하는 가운데 여행업계에서는 크게 개의치 않는 모양새다. [사진=연합뉴스]

 

웃더민체이주, 프레아비히어주, 반테이민체이주, 바탐방주, 파일린주, 푸르사트주, 코콩주, 프놈펜시 등 기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지역은 효력이 계속 유지되며, 현재 1단계(여행유의) 발령 지역들은 2단계(여행자제)가 발령된다.

 

캄보디아뿐 아니라 태국·베트남·라오스 등 인접한 동남아 국가 전반에 대한 공포가 퍼지며 여행업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동남아 여행을 예정했던 여행객들이 줄줄이 여행을 취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캄보디아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8월 캄폿주 보코르산 인근에서는 20대 한국인 남성이 중국인 조직에 납치돼 고문 끝에 숨진 채 발견됐고, 수도 프놈펜에서도 납치 피해 사례가 연이어 보고됐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3명에 불과했던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의 차이는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2024년 3248명 등 2000∼3000명대로 늘어났다.

 

이는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이 매년 수천 명씩 귀국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는 수치다. 올해도 8월까지 864명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캄보디아 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한국 방문객 수는 17만171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에는 19만305명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관광객 대다수는 휴양·여행 목적으로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업무를 위한 방문은 전체의 약 2%에 불과하다. 즉 여행객 수요가 대부분이다.

 

캄보디아 이민청이 집계한 캄보디아 입국 한국인 수치는 2021년 6074명, 2022년 6만 4040명, 2023년 17만 171명, 2024년 19만 2305명, 2025년 1월∼7월 10만 6686명을 기록했다. 

 

오는 11월 캄보디아 여행을 계획 중인 A씨는 "범죄 집단이 관광객을 표적으로 삼을까 우려된다"며 "여행지 변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누리꾼 B씨는 "10년전 앙코르와트에 다녀왔다. 올 겨울에 가고 싶었는데 못가게 됐다"며 "가깝고 물가도 싼 편이라 너무 아쉽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여행업계는 캄보디아 관련 이슈에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캄보디아 여행수요는 지난 코로나 시기 앙코르와트 직항이 폐지된 이후 동남아 여행수요에서 1% 미만의 아주 적은 부분을 차지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캄보디아 사태로 인해 일반여행사에서 받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지만, 여파가 더 커지지 않도록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여행업계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전세기 외에 여행하기 어려운 지역"이라며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비해 수요가 많지 않아 큰 타격 은 없을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여행업협회(KATA)는 "문체부·외교부와 협력해 현지 안전 동향을 모니터링 중이며, 소속 여행사에는 단체 여행객 대상 안전 가이드라인을 공지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