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를 앞고싶다"...'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후지이 미나 '관심 집중'

이동훈 / 기사승인 : 2025-02-24 12:52:50
  • -
  • +
  • 인쇄
유창한 한국어 패치와 물오른 비주얼로 시선 집중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배우 후지이 미나가 완벽한 한국어 패치로 일본의 매력적인 소도시 도쿠시마를 소개했다.


후지이 미나가 지난 23일 방송된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서 일본의 소도시 도쿠시마를 방문했다.

▲ 사진=TV조선 '허영만의 백반기행' 방송 캡처

이날 방송에서 식객 허영만과 함께 도쿠시마의 요시노 강과 이야 계곡을 찾은 후지이 미나는 "일본의 3대 비경 중 하나"라고 안내했다.

때마침 하얗게 내리는 하얀 눈을 보며 "도쿠시마가 일본 남쪽이고 겨울도 그렇게 춥지 않다"며, "오늘은 특별한 거다. 원래 눈이 이렇게 많이 내리는 곳이 아니다"라고 식도락 여행에 의미를 더했다.

후지이 미나와 허영만은 이야 계곡에 있는 넝쿨 다리(가즈라바시)를 건넜다. 위험천만해 보이는 다리였지만 후지이 미나는 12세기에 만들어진 역사적 유래를 설명하며 태연하게 다리를 건너는 강심장의 면모를 뽐냈다.

나아가 유람선을 타고 요시노 강의 풍광을 마주한 후지이 미나는 영화 '러브레터'의 명대사인 "오겐키데스까"를 외치며 웃음을 자아냈다.

숙소에 도착한 후지이 미나와 식객은 료칸 숙박의 꽃인 가이세키 만찬을 맞이했다. 도쿠시마 특산물로 만든 화려한 요리를 만끽한 후지이 미나는 허영만과 함께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펼치는 연기 생활을 이야기하며 여행 첫날을 마무리 했다.

다음날 료센지 사원을 찾은 후지이 미나는 "시코쿠 88개 순례길이 있다"며, "시코쿠는 도쿠시마가 포함해 네 개의 현이 있는 섬인데, 그 안의 절들을 찾아가는 순례길의 시작이자 종착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사원에서 길흉화복을 점친 후지이 미나는 불길한 운세가 나오자 외마디 비명을 지르는 모습으로 웃음을 안겼다.

이처럼 후지이 미나는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연기 활동을 펼치며 익힌 완벽한 한국어 실력으로 허영만의 일본 백반기행을 조력했다.

나아가 현재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일본의 여행지와 도시, 그리고 음식점을 비롯한 여러 문화를 소개하는 유튜브도 활발하게 운영 중인 만큼 도쿠시마의 관광지와 역사는 물론 특산 음식의 맛과 유래를 상세히 소개하며 어느 때보다 많은 정보와 재미를 동시에 안겼다.

한편, 후지이 미나는 최근 방영한 TV도쿄 ‘바람이 부는 섬’에 출연했고, 현재 한국 차기작을 검토중이다. 또한 유튜브 채널 '톡! TALK! 후지이 미나'를 통해 일본 곳곳을 찾아다니며, 맛집을 소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