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렌우드, 판매 1위 봄 여름용 '컴포치노 팬츠' 선판매 진행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9 14:00:47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이 전개하는 남성복 브랜드 ‘브렌우드’가 S/S 시즌을 맞이하는 남성 고객들을 위한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 사전 판매를 진행한다.


매 시즌 브렌우드는 면직물을 염색한 소재를 적용한 클래식한 디자인이 특징인 ‘치노팬츠’를 주력상품으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9월에는 공식 온라인몰인 ‘코오롱몰’에서 진행하는 선판매 형태의 프로모션이자 정식 출시 전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OLO 펀딩 기획전’을 통해 치노팬츠를 판매해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작년의 경우 겨울용 ‘컴포치노 기모 팬츠’는 펀딩을 통해 2주간 2,700장을 판매했으며, 24년 1월말 기준 누적 12,000장 이상 판매고를 올리며 브렌우드의 베스트 상품으로 등극했다. 

 

▲ 브렌우드, 판매 1위 봄 여름용 '컴포치노 팬츠'선판매 진행

 

이에 24S/S 시즌을 맞아 브렌우드는 봄여름용인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COMFO-CHINO LIGHT PANTS)’ 정식 출시를 앞두고 올해도 OLO 펀딩을 통해 선판매를 진행한다.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는 스판과 면 소재가 혼방되어 신축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착용감을 자랑하는 여름 시즌에 최적화된 상품이다.

 

살아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삶는 바이오워싱 기법을 사용해 부드러운 촉감은 물론 자연스러운 빈티지 질감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바지 내부에는 밴딩을 부착해 어떠한 체형에도 부담 없이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안쪽 원단 끝부분 배색 처리와 허리 상단에 컬러 스티치를 적용하는 등 보이지 않는 곳까지 디테일을 놓치지 않으며 멋스러움을 더했다.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 선판매는 2월 19일부터 3월 3일까지 코오롱몰을 통해 진행된다. 사전 주문 고객을 위해 해당 기간 동안에만 소비자가 9만 9천원 상품을 40% 할인된 5만 9천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대에 만나볼 수 있다.

브렌우드 관계자는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는 누구나 부담없이 편안하고 스타일리시한 룩을 연출할 수 있는 제품”이라며 “가성비와 가심비를 완벽하게 구현하는 ‘직장인을 위한 아웃핏’ 이라는 상품 콘셉트로 24S/S 시즌을 대표하는 남성 팬츠로 자리매김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브렌우드는 ‘컴포치노 라이트 팬츠’에 이어 오는 4월에는 여름 상의인 ‘차가운 티셔츠’를 코오롱몰 OLO 펀딩 기획전을 통해 판매하며 좋은 품질의 상품을 합리적 가격에 선보일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브렌우드 공식 온라인몰인 코오롱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시아나 마일리지, 대한항공과 합병후에도 10년 사용 가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한항공은 30일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10년간 별도 유지 원하는 시점에 대한항공 스카이패스 마일리지로의 전환 지원 우수회원 통합방안 마일리지 사용계획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6월 12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제출한 바 있으며, 공정위로부터 수정보완 요청을 받아 9

2

대한장애인양궁협회,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6개 메달 획득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대한장애인양궁협회는 지난 9월 광주에서 개최된 2025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 등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대회는 47개국 443명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대한민국 선수단은 종목별로 고른 입상을 통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특히 W1 여

3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