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에 빠진 롯데·SK 총수일가 3세들...경영 능력, 전문성 입증 시험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4 16:01:24
  • -
  • +
  • 인쇄
신유열 전무 롯데바이오, 최윤정 본부장 SK바이오팜
"바이오산업 성장성 높아 실적 쌓는데 효과적" 관측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롯데와 SK가 최근 2024년 임원 인사를 단행하면서 그룹 총수일가 3세들이 바이오 계열사 신사업을 이끌게 됐다. 

 

먼저 신동빈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케미컬 상무는 1년 만에 전무로 승진하면서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직한다. 최윤정 SK바이오팜 전략투자팀장도 최연소 사업개발본부장으로 승진하면서 신성장동력 사업과 신규 투자 대상을 발굴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신유열 롯데바이오로직스 전무와 최윤정 SK바이오팜 본부장 [사진=각사] 

재벌가 자제들이 속속들이 '약'에 빠진 이유는 바이오 산업 전망이 밝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발간한 '2024 산업전망 보고서'에따르면 제약바이오산업 전망은 '맑음'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10개 주요 업종별 협회·단체 등과 조사를 진행한 결과로 유일하게 제약바이오산업만 업황이 좋을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22%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9.7% 증가한 23조 4657억 원으로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신약 파이프라인(신약을 도출해 내는 후보물질) 개발의 빠른 증가세와 함께 한국형 신약 개발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발맞춰 정부도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과 함께 K-바이오 백신 펀드 결성, 한국형 ARPA-H(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for Health)를 추진하는 등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더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른바 제약·바이오기업이 새로운 '골드러시' 산업으로 각광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재벌가 자제들이 실적 쌓기에도 용이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바이오 헬스 산업은 전망이 밝은 업종을 분류돼 재벌가 자제들이 쉽게 접근 가능한 산업군"이라면서 "조기에 많은 성과를 창출 할 수 있어, 대내외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리더십과 좋은 평판을 쌓기 쉽기 때문에 안정적인 승계구도를 확립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신사업 이끌게 된 신 전무는 당분간 지난해 인수한 미국 시큐러스 공장을 중심으로 신규 거래선을 발굴함과 동시에 대외 신뢰도를 높이는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건설 중인 송도 바이오 플랜트는 2034년쯤에나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어서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송도바이오 플랜트 1·2·3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36만 리터의 항체 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다.

신유열 전무가 경영 승계 발판을 공고히 하기 위해 양호한 실적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를 받았다면, SK바이오팜의 최윤정 사업개발본부장은 업계 전문가로서 평가받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최 본부장은 미국 시카고대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스탠퍼드대에서 생명정보학 석사 과정을 밟은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어서다.

앞서 SK바이오팜은 제2의 상업화 제품 인수, 유망기술 확보 등을 통해 2026년 150억 달러(약 19조 원) 기업 가치를 지닌 '빅 바이오텍'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바이오팜은 표적단백질분해(TPD), 방사성의약품(RPT), 세포 유전자 치료제(CGT) 등을 3대 신규 기술로 꼽았다.

업계에서는 신성장동력 발굴 및 파트너십을 주관하는 최 본부장은 3대 기술 확장 계획을 구체화하는 작업에 주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2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