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기사 노조 어린이날 파업 선언 '배달 대란' 우려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04-28 14:36:53
  • -
  • +
  • 인쇄
노조 배달료 1000원 인상 요구…사측 등과 조정 결렬
노조원 88.14% 파업 찬성…배민 "배달 운영 점검‧대응"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배달의민족(배민) 배달 기사 노조가 다음 달 어린이날에 파업 엄포를 놓고 있어 배달 대란 사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27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이날 노조와 배민 라이더 운영사인 우아한청년들의 단체 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어린이날 파업을 강행한다고 밝혔다. 공휴일인 해당 날짜에 배달 물량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시지 않는다.


 

▲ 주행 중인 배민라이더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배민 기사 노조는 앞서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기본 배달료가 9년째 3000원으로 동결 중이라며 이를 4000원으로 1000원 인상해야 한다고 우아한청년들 측에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노동조합 활동 보장' 등도 요구안에 담았다.

당시 노조는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다음 달 1일 집회와 오토바이 행진을 벌이고 5일에는 파업 등으로 사측을 더욱 강하게 압박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이후 노사 간 중앙노동위원회의 2차 조정이 결렬되며 노조의 어린이날 파업이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노조는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이 투표에는 전체 조합원의 약 80%가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88.14%의 찬성표가 나왔다는 게 노조 설명이다.

노조는 "지난해 영업이익 4200억원을 낸 사측이 배달노동자 처우개선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단체 행동 이유를 밝혔다.

배민은 현재 배달 앱 시장 1위 업체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배민의 월 사용자 수는 1332만명으로 2위 앱인 요기요(491만명)에 비해 약 2.8배 많다.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배달 기사 파업의 여파도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사측은 아직 노조와의 협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우아한청년들 관계자는 "아직 대화가 진행 중인 사항으로 지난 조정 결과와 상관없이 대화를 통한 합의점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파업 당일 상황에 따른 시뮬레이션 점검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달이 운영될 수 있도록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우아한청년들은 앞서 2020년과 2021년에도 노조와의 단체 교섭에서 합의를 이끌어 냈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앞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조치에 이은 추가적인 고객 보호 대책으로, 통신서비스 전반의 신뢰 회

2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3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