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름, 프레시파머와 MOU 체결... "고품질 유산균 기능성 계란" 출시 할 것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2 16:13:17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포스트바이오틱스 전문기업 베름이 프레시파머와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베름은 이번 MOU를 계기로 프레시파머가 보유한 기능성 계란 관련 특허를 기반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 '고품질 유산균 기능성 계란'을 시장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베름이 프레시파머와 MOU를 체결했다 

이를 위해 베름은 지난해 말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베름의 고농도 유산균 배양액을 프레시파머 산란계 사료 무게의 5%~10% 해당되는 양을 첨가해 직영농장 산란계사 2동에 38주령된 하이브라운종 닭들에게 35일간 급여함으로써 1주일 간격으로 이 형질전환 유산균이 미니항체 단백질을 몸속으로 운반하여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음을 입증함과 동시에 산란계의 생산능력, 계란의 무게 및 난황 난백의 구분과 색도,선명도, PH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계란의 항산화 효과와 항암 효과가 증진 되고 피부 알러지를 감소시키거나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줄이는 작용을 구체적으로 밝혀내 세계 최초 고품질의 유산균 기능성 계란을 제조 하겠다는 것이다. 

 

베름은 30년 가까이 일본과 한국에서 포스트바이오틱스만을 연구해 온 전문 기업으로 지난 2016년 강원도 원주에 전문 연구소와 공장을 설립하고, 고농도 유산균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면역, 염증성질환, 대장염 예방,근위축예방등 다양한 특허와 논문을 보유하고 있어, 종근당, 동국제약, 중외제약, 보령제약, 유유제약 등 다양한 제약사와 식품업계로는 동원 F&B, 대상, 풀무원, 서울우유, 매일유업, 연세유업 등 200개 이상의 브랜드에 유산균을 공 급하고 있다. 

 

프레시파머는 기능성 계란 관련 특허를 5종 출원하고 뇌질환,치매,유방암,난소암 예방 및 개선 되는 천연발효액과 계란 관련 특허를 취득한 유정란 생산,유통 업체다.

 

고기능성 계란을 국내 유명 백화점인 롯데, 갤러리아, 신세계, AK 등에 납품 중이며, 3년 연속 프리미엄 신선식품 중 가장 높은 판매 실적과 재구매율을 보이고 있다.  

 

김정진 프레시파머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베름의 독보적인 포스트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통해 전국 양계 농가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슈퍼박테리아 이슈와 AI(조류 감염병)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해결 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2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1330억원 규모 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 1330억원 규모의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ICT 패밀리와 함께 매년 설·추석 명절 전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해왔다. 올 추석에도 전국 1430여개 협력사와 250여개 유통망에 약 1330억원을 연휴 시작 전에

3

한화손해보험, 새 브랜드 모델에 배우 고윤정 발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화손해보험이 새 브랜드 전속모델로 배우 고윤정을 선정하고 다양한 브랜드 캠페인 활동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새 전속 모델로 발탁된 배우 고윤정은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무빙’, ‘환혼: 빛과 그림자’ ‘헌트’, 그리고 공개를 앞둔 ‘이 사랑 통역 되나요?​’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