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카드 "쌀 구매 79%는 50대 이상, 시기는 9월"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6 16:57:42
  • -
  • +
  • 인쇄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NH농협카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쌀 농가와 관련 산업에 쌀 소비 현황을 제공하고자 '소비트렌드 Insight 보고서 - 하나로마트 고객의 쌀 소비 현황'을 분석했다고 6일 밝혔다.

 

▲[사진= NH농협카드]

보고서는 2020년 2월부터 2024년 6월까지 하나로마트 이용 후 NH포인트를 적립한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간·월별 소비 현황 ▲가격·용량에 따른 소비 변화 ▲구매 주기 및 횟수 ▲대체식품 소비현황 등 쌀 구매현황을 다각적으로 비교·분석했다.

 

먼저 고객들은 쌀을 9월에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은 햅쌀의 판매가 시작되고, 민족 명절인 추석이 속해 있다. 쌀 매출액과 이용고객 수는 2021년 9월(361억원, 72만명)이 가장 많았다. 당시 지급됐던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2022년 9월에는 연중 가장 많은 매출액(220억원)을 보였지만 쌀 가격 급락의 여파로 다른 연도에 비해 매출액 증가분이 눈에 띄게 적었다.

 

고객들은 10kg의 쌀을 가장 선호하며 해당 용량에 대한 선호가 더욱 강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23년에는 쌀 구매고객의 절반 이상이 10kg 용량의 쌀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그 이유로 1인 가구의 증가, 가구당 인원 감소 등 사회적 변화를 꼽았다.

 

쌀 구매 고객의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79%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상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1%로 가장 많았고 50대(28%), 70대(20%)가 뒤를 이었다. 성별 비중은 여성(60%)이 남성(40%)보다 다소 높았다.

 

쌀을 대체할 수 있는 즉석밥, 라면, 베이커리의 구매건수는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30대 이하의 저연령층에서 쌀보다 대체식품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이들의 2023년 구매건수 중 쌀의 비중은 6%인 반면 즉석밥 15% 라면 10% 베이커리 9%의 비중으로 쌀 보다 모두 높았다.

 

NH농협카드 관계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쌀 농가와 관련 기업에게 쌀 소비 현황을 전달하고자 이번 분석을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범농협 데이터를 활용해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희망브리지, '안아드림 페스티벌' 참여… 소방관 응원 부스 운영
[메가경제=정호 기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가 27일까지 경상북도청 천년숲에서 열리는 ‘2025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에 참여해 ‘특명! 소방관을 응원하라’ 부스를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은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경상북도 소방본부가 주관하는 도내 최대 규모의 안전체험 행

2

타타대우모빌리티, 친환경 청소차 시연회서 '기쎈(GIXEN)'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타타대우모빌리티가 전기 청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지난 25일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진행한 ‘친환경 청소차 시연회’에 참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특별시 생활환경과가 주최한 ‘친환경 청소차 시연회’에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담당자들과 청소차 관련 업체들이 참석했다. 본 행사는 관계자들이 친환경 청소차의 성능을 직접 체험하고, 공공

3

hy, ESG 캠페인 성과…탄소 5.4톤 감축·참여율 88% 달성
[메가경제=정호 기자] hy가 참여형 ESG 캠페인을 운영하며 뚜렷한 성과를 거뒀다.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임직원의 참여도를 높이고 건강한 절약문화를 확산한 결과다. hy는 지난해부터 에너지 절감과 일회용품 사용 감소 활동을 이어왔다. 올해에는 사내 공모를 통해 ‘ESG했지(hyESG)’라는 이름을 정하고,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월별 테마 과제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