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양자컴퓨터의 해킹 공격도 방어할 수 있는 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회사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 중 양자내성암호 이용약관 승인이 완료돼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양자내성암호 기술이 적용된 광전송장비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제공] |
양자내성암호(PQC)는 현존 슈퍼컴퓨터보다 연산속도가 이론상 1000만 배 빠른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모든 공격에 대해 안전한 내성을 갖는 암호 기술이다.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하는 데 수조 년 소요하는 복잡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이번 출시한 ‘U+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은 양자내성암호 기술이 적용된 광전송장비(ROADM)를 통해 해킹 불가능한 보안환경을 제공한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고객이 전용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양자내성암호 키(key)로 암·복호화하는 방식이다.
LG유플러스는 이 서비스 출시를 위해 첨단암호 기술 개발 스타트업 ‘크립토랩’, 국내 광전송장비업체 ‘코위버’와 손잡고 지난 2019년부터 2년여간 기술 개발을 진행했다.
U+양자내성암호는 수학적 알고리즘에 따라 격자 기반, 다변수 다항식 기반, 코드 기반, 해쉬 기반 등 다양한 방식의 암호 중 격자 기반 암호를 채택했다.
격자 기반 암호는 인수분해 등 어려운 수학을 이용한 기존 암호와는 달리, 행렬처럼 쉬운 문제를 쓰면서 수학적으로 어렵게 만드는 암호기술이다. 쉬운 문제의 답을 조금씩 다르게 하는 격자의 성향을 활용해 답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200차원 격자를 이용한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암호 기술이 전 세계 많은 기관으로부터 안전성이 입증됐으며 낮은 CPU 성능, 작은 메모리 용량, 낮은 전력과 대역폭 등 제한적인 환경을 가진 사물인터넷(IoT) 환경에도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U+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이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다루는 보안 민감도가 높은 금융기관과 금융 서비스 플랫폼 ▲IDC 센터에서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게임‧플랫폼 ▲메타버스, NFT(대체불가토큰), AI(인공지능) 등에 적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성철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은 "LG유플러스는 양자암호 서비스 상용화를 통해 양자정보통신 산업을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술환경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